TECH M
TECH M
체인파트너스, 다우존스와 암호자산 거래 자금세탁방지 협력
블록체인 핀테크 전문업체 체인파트너스가 다우존스 리스크 앤 컴플라이언스를 도입해 암호자산을 거래하는 사람들에 대한 신원확인(KYC)을 강화한다고 20일 밝혔다.
다우존스 리스크 앤 컴플라이언스는 국내 시중은행의 96%가 사용하는 솔루션이다. 국제연합(UN), 유럽연합(EU), 미 재무부 해외재산통제국(OFAC)와 같은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로부터 1600개 이상의 국제 제재 명단을 수집, 관리하고 있다. 명단은 세계 200여개국에서 매 8시간마다 업데이트된다.
이 명단을 기반으로 제재 명단에 오른 개인이나 법인은 앞으로 체인파트너스의 모든 암호자산 거래 서비스에 가입과 이용이 거절된다.
체인파트너스는 암호자산 거래소인 ‘데이빗’과 고액자산가 대상 비트코인 전화주문 서비스 ‘코인케어’, 법인고객 대상 비트코인 장외거래서비스인 ‘CP OTC’에 다우존스 솔루션을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현재는 ‘코인케어'와 ‘CP OTC’에서 적용됐다.
아울러 개인 고객 비중이 큰 데이빗은 다우존스 솔루션과 더불어 금융 정보 전문업체 레피니티브(구, 톰슨로이터)가 운영하는 월드체크(World Check) 솔루션을 동시 적용한다.
이로써 데이빗이 회원 가입 과정에서 이미 운영 중인 신원 확인 서비스에 다우존스와 레피니티브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해 이중으로 검증할 수 있다고 체인파트너스 측은 설명했다.
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대표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권고에 따른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당사와 거래하는 모든 개인과 법인에 대해 금융권 수준의 엄격한 자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조달방지를 시행했다”면서 “앞으로도 암호자산을 적법하고 안전하게 취급하는 회사가 되기 위해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소재·부품 연구개발사업 예타 면제 추진…日 수출규제 대응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 부품, 장비 분야 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은 타당성 조사를 실시해야 하나 3개 분야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화를 촉진하는 차원에서 이를 면제하기로 했다.예타 면제 대상은 총 3개 사업(산업부 2개, 중기부 1개)으로 총사업비는 약 1조9,200억원이 소요된다.구체적으로 전략핵심소재 자립화 및 제조장비시스템 스마트2019-08-22 08:56:06이명재 기자
-
KT ‘5G 워크플레이스’로 편리한 모바일 업무환경 만든다KT가 5G 단말기를 활용해 기업망에 접속 가능한 ‘5G 워크플레이스(WorkPlace)’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5G 워크플레이스는 유선 기업 LAN에 적용되는 스위치/백본과 같은 고비용의 장비 없이 유선 배선을 완전히 걷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별도 장비를 도입하지 않고 기업망을 클라우드화하고, KT 5G 기업LAN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특히 KT 5G폰이나 5G라우터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사내와 동일한 유무선 통합 IP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업 이용2019-08-21 18:06:14김태환 기자
-
인텔, 고성능 AI 가속기 ‘너바나’ 공개인텔이 출시를 앞둔 고성능 인공지능(AI) 가속기 인텔 너바나 신경망 프로세서에 대한 세부 정보를 21일 공개했다.인텔에 따르면 너바나 프로세서 제품군에는 트레이닝용 프로세서인 NNP-T(Neural Network Processor)와 추론용 프로세서인 NNP-I가 포함된다.우선 인텔 너바나 NNP-T는 네트워크를 주어진 전력 범위 내에서 빠르게 트레이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유연성을 염두에 두고 구축돼 컴퓨팅, 통신, 메모리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미래의 딥러닝 요구를 충족하려고 프로그래머블 기능으로2019-08-21 16:22:59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