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초전도 기술을 이용한 세계 최초 달걀 세우기 성공…회전 테슬라를 넘어선 신개념 달걀 세우기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세계 최초로 초전도 기술을 활용해 달걀 세우기에 성공했다. 달걀을 깨서 세웠던 콜럼버스와 회전 자기장으로 달걀을 돌려서 세웠던 테슬라 수준을 뛰어 넘어, 초전도 기술로 달걀을 세우고 공중부양까지 해냈다.
달걀은 밑바닥이 둥글기 때문에 바로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 잠깐 세운다고 해도 무게중심이 높고 밑바닥이 평평하지 않아 바로 쓰러진다.
달걀 세우기가 유명해진 것은 과거 신대륙을 발견했던 콜럼버스가 달걀 한쪽 끝을 살짝 깨서 세웠던 이야기에서 시작한다.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발상의 전환과 혁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 콜럼버스의 교훈을 강조한 사례다.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이 새로운 혁신을 보이고자 달걀 세우기에 도전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천재 과학자인 ‘니콜라 테슬라’가 회전하는 자기장으로 달걀을 돌려서 세운 방법이다. 또 남미 에콰도르에서는 원심력이 지면과 수직인 적도에서 달걀 세우기에 성공했다.
이런 배경에서 KERI는 전기기술을 활용해 신개념 달걀 세우기를 선보였다. 달걀 세우기를 넘어 공중부양까지 이뤄냈다. KERI 최규하 원장을 비롯한 실험팀은 ‘초전도’라는 특수한 전자기 현상을 활용해 달걀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으로 도전했다.
‘초전도(Superconductivity)’는 금속 같은 물질을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갑자기 전기저항을 잃고 전류를 무제한으로 흘려보내는 현상이다. 초전도체는 내부로 자기장이 통과하지 못하고 밀려나는 일명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라는 특성을 가져 자석 위에 초전도체를 갖다 대면 공중부양을 하는 신기한 현상이 발생한다.
실험팀은 이런 초전도 특성을 생각해, 달걀 밑에 자석을 접착제로 붙인 뒤, 이 달걀을 액체질소로 냉각된 초전도체 위에 올렸다. 그 결과 초전도체 특유의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로 달걀을 세우고 공중부양까지 확인했다.
KERI 최규하 원장은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달걀 세우기를 시도했지만, 초전도 기술을 활용한 사례는 KERI가 최초”라며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첨단 전기기술이 미래의 우리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소재·부품 연구개발사업 예타 면제 추진…日 수출규제 대응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 부품, 장비 분야 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은 타당성 조사를 실시해야 하나 3개 분야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화를 촉진하는 차원에서 이를 면제하기로 했다.예타 면제 대상은 총 3개 사업(산업부 2개, 중기부 1개)으로 총사업비는 약 1조9,200억원이 소요된다.구체적으로 전략핵심소재 자립화 및 제조장비시스템 스마트2019-08-22 08:56:06이명재 기자
-
KT ‘5G 워크플레이스’로 편리한 모바일 업무환경 만든다KT가 5G 단말기를 활용해 기업망에 접속 가능한 ‘5G 워크플레이스(WorkPlace)’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5G 워크플레이스는 유선 기업 LAN에 적용되는 스위치/백본과 같은 고비용의 장비 없이 유선 배선을 완전히 걷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별도 장비를 도입하지 않고 기업망을 클라우드화하고, KT 5G 기업LAN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특히 KT 5G폰이나 5G라우터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사내와 동일한 유무선 통합 IP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업 이용2019-08-21 18:06:14김태환 기자
-
인텔, 고성능 AI 가속기 ‘너바나’ 공개인텔이 출시를 앞둔 고성능 인공지능(AI) 가속기 인텔 너바나 신경망 프로세서에 대한 세부 정보를 21일 공개했다.인텔에 따르면 너바나 프로세서 제품군에는 트레이닝용 프로세서인 NNP-T(Neural Network Processor)와 추론용 프로세서인 NNP-I가 포함된다.우선 인텔 너바나 NNP-T는 네트워크를 주어진 전력 범위 내에서 빠르게 트레이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유연성을 염두에 두고 구축돼 컴퓨팅, 통신, 메모리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미래의 딥러닝 요구를 충족하려고 프로그래머블 기능으로2019-08-21 16:22:59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