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수소연료전지 내구성 높인 나노튜브 촉매 담지체 개발
비탄소계 금속산화물 담지체로 성능과 안정성 높여
최근 수소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 친환경 자동차로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수소차 동력원인 수소연료전지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김진영 박사팀이 비탄소계 촉매 담지체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수소연료전지는 저온에서도 잘 반응하는 백금 나노촉매를 주로 사용한다. 담지체는 촉매의 반응성과 선택성 같은 성질을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연료전지용 백금 촉매에는 촉매 반응을 높이는 탄소 담지체가 들어 있다. 그런데 기존 탄소 담지체는 반복해서 사용하면 쉽게 부서져 연료전지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담지체가 부서지는 문제 해결의 답을 KIST 연구팀은 비탄소계 소재에서 찾았다. 비탄소계 금속산화물 소재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띠며, 잘 부서지지 않는 우수한 내부식성을 보인다. 주석산화물은 대표적인 비탄소계 금속산화물로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KIST 김진영 박사팀은 주석산화물에 다양한 양이온과 음이온 원소를 도핑하는 시험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불소가 전기화학적으로 가장 안정되며, 전기전도도도 뛰어난 원소임을 밝혀냈다.
KIST 연구진은 불소를 첨가한 주석산화물을 나노튜브 형태의 담지체로 만들어 연료전지에 적용했다. 이를 시험한 결과 최대출력밀도가 7%만 감소하는 최고 성능을 보였다. 기존 탄소 담지체는 70%까지 감소했다.
KIST 수소연료전지연구단 김진영 박사는 “우수한 성능의 불소 도핑 주석산화물은 앞으로 수소연료전지 촉매 담지체뿐만 아니라 촉매 담지체를 사용하기 어려운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에너지 최신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잔여임기 1년' 4기 방통위, 겹악재에 '흔들'임기 1년을 남겨둔 4기 방송통신위원회가 흔들리고 있다.정권교체 직후 출범, 언론적폐 청산을 필두로 여러 역점과제들을 추진해 왔으나 돌연한 위원장 교체로 잡음이 나고 있고, 추진해온 역점 과제도 법원 판결과 사업자들 반발로 제동이 걸리고 있다.이효성 위원장 체제에서 추진하던 ICT 거버넌스 개편 등도 카운터파트인 과기정통부의 호응을 얻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22일 서울행정법원이 페이스북이 방통위를 상대로 제기한 과징금 및 행정명령 취소 청구소송 선고공판에서 페이스북의 손을 들어주자 방통위는 당혹한 모습을 보2019-08-26 08:45:05서정근 기자
-
갤노트10 '판매사기·예약 취소'… 혼돈의 통신시장[앵커멘트]새 프리미엄폰인 갤럭시노트10이 인기를 끌면서 제품을 구입하려는 고객들이 계속 늘고 있는데요. 일부 집단상가, 온라인영업점들이 소위 먹튀 등 판매 사기를 벌이고 있고 개통을 고의로 지연시킴에 따라 예약 취소가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각종 불법행위로 멍들고 있는 통신시장을 이명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기사내용]휴대폰 집단상가, SNS 등 온라인 영업점들이 갤럭시노트10 판매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각종 사기, 개통 지연에 따른 예약 취소 등 통신시장이 대혼란에 빠졌습니다.출고가가 124만원인 제품을 현금2019-08-26 08:40:30이명재 기자
-
[테크엠 북카페] 전대미문의 사기극 ‘테라노스 스캔들’ 이야기 - 배드 블러드“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미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배드 블러드’를 읽은 빌 게이츠의 말이다.배드 블러드는 실리콘밸리 역사상 최악의 사기극인 ‘테라노스 스캔들’을 다룬 책이다. 2003년 스탠포드대학을 자퇴한 20살 소녀 엘리자베스 홈즈는 첨단 의료기술 스타트업 테라노스를 창업한다. 그는 손가락에서 채혈한 몇 방울의 피만으로 약 200개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2015년 초에 이르자 테라노스는 실리콘밸리2019-08-23 18:09:25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