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엠 기획] 블록체인 해외진출 본격화…‘블록체인 한류’ 기대한다면 규제 완화 필요
국내 프로젝트 해외 거래소 상장…“높은 참여도 강점으로 '퍼스트 무버' 될 것”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해외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상대적으로 금융 인프라가 취약한 동남아 시장에서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려면 본진인 국내의 규제 완화와 더불어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베트남·싱가폴·홍콩 진출
최근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은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마케팅 전문업체 시맥스미디어와 정식 사업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시맥스미디어는 우선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플랫폼 1호 디앱(DApp·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인 SNS 메신저 ‘스낵(SNAC)’의 현지 서비스를 론칭한다.
또 시그마체인의 기술 지원을 바탕으로 음원과 사진, 영화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스낵 코인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디앱을 단계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국내 블록체인 기업 엠블과 템코는 싱가포르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엠블은 2017년 7월부터 싱가포르에 블록체인 기반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TADA)’를 출시했다. 현지 운전기사는 2만7000여명, 고객 가입자 수는 20만명에 육박한다.
템코는 블록체인 기반 상품이력 관리 시스템 ‘구하다(GUHADA)’를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부터 싱가포르 물류 기업인 ‘로지스틱스X’와 함께 블록체인을 통한 물류환경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블록체인기업인협회(KOBEA)는 지난 6월부터 우즈베키스탄에서 정부 공인 가상통화 거래소 우즈넥스(UZNEX)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다른 유형의 두개 거래소를 추가로 오픈할 계획이다.
국내 프로젝트들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도 확대되는 추세다. 해외 거래소로부터 해외투자자 자금을 유입시키고, 나아가 현지 업체들과 협업해 시장 진출을 노리는 전략이다.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테라는 스테이블코인 ‘테라’와 마이닝 토큰 ‘루나’를 싱가포르 거래소인 비트루(Bitrue)에 상장했다. 테라와 비트루는 스테이블코인 테라를 활용한 고수익 저축과 대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기업 메디블록은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운영하는 탈중앙화 거래소인 ‘바이낸스 덱스’ 상장을 추진한다. 메디블록은 최근 공개한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패너시어와 바이낸스 블록체인을 연동하면 해외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한국 아직 ‘퍼스트 무버’ 가능성 충분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해외 진출은 강력한 금융당국의 규제 때문이다. 2년 전 ‘김치 프리미엄’이라고 불릴 정도로 암호화폐 시장에 돈이 몰렸다. 하지만 정부의 ICO 금지와 암호화폐 규제 기조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유동성 하락은 결국 자금 유입을 축소시키고, 이는 블록체인 생태계가 커지지 못하게 막는 효과를 가져왔다.
정부는 2017년 9월 말부터 모든 형태의 ICO(암호화폐공개)를 전면 금지시킨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초창기 블록체인 업체들은 ICO를 통한 자금모집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국내 활로가 없자 해외에 법인을 두고 진행하거나, 거래소에서 자금을 모집하는 IEO(거래소공개)로 전환해 자금을 유치했다.
이후 2018년에는 정부 당국이 규제와 관련한 수위를 높였다. 당시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이 "가상화폐 거래소를 전면 폐쇄하겠다"라고 말해 논란이 일었고, 청와대가 부처 간 협의 중이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2018년 1월에 암호화폐 거래소에 거래실명제가 도입됐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은행에 압력을 넣어 일부 거래소만 실명확인 계좌 발급을 진행하도록 만든 실정이다. 최근에는 자금세탁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와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발의되면서, 암호화폐 거래소 '벌집 계좌'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기존 백서를 수정해, 설계 단계부터 해외 시장 진출을 염두하고 만드는 업체가 늘어났다.
하지만 국내 블록체인 기술이 세계에서 인기를 얻는 '블록체인 한류'를 생각한다면 국내에서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의견이다.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은 뒤 해외에서도 성공한 한류 콘텐츠처럼, 블록체인 프로젝트나 기술도 국내에서 성공한 뒤 해외로 진출해야 '블록체인 한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한 업체 대표는 “블록체인은 태생부터 국내와 국외를 구분할 필요가 없는 기술이며, 국내 비즈니스를 하더라도 더 큰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것이 맞다”면서 “굳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많은 한국 시장에 올인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편에서는 한국 시장에서의 규제 완화가 오히려 블록체인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류한석 이오스 노드원 한국 bp 대표는 “한국은 아직까지도 인구 대비 높은 암호화폐 보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싸이월드 ‘도토리’처럼 가상 재화(Virtual Goods) 개념을 세계 최초로 도입한 나라”라며 “높은 참여도와 시민의식을 가진 국민성을 감안하고, 비트코인에 대한 ‘김치 프리미엄’이 나타났던 것을 생각해봤을 때, 한국에서 제대로 리드한다면 패스트 팔로워가 아니라 퍼스트 무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현대모비스 미래차 핵심 부품 회사로 체질 변화…수소차·전기차 부품 매출 대폭 확대[앵커멘트]친환경, 자율주행 등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부품사의 체질 변화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대차를 전후방에서 지원하던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부품 등 핵심 부품을 중심으로 이러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권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수소전기차의 심장인 연료전지를 만드는 현대모비스의 충주공장 증설이 한창입니다.현재 연간 3천대 규모의 연료전지가 이곳에서 생산이 되는데, 올해 말 2공장이 완공되면 6천대 이상으로 확대됩니다.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의 연료전지 생산 능2019-08-30 09:00:09권순우 기자
-
불확실성 더 커진 삼성... 재계 '삼성 경영활동 위축' 우려[앵커멘트]오늘(29일) 상고심을 통해 집행유예가 확정되는 등 불확실성이 제거되기를 기대했던 삼성은 충격에 빠졌습니다. 삼성은 국가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밝혔지만 재계는 대규모 투자, 소재부품 국산화 드라이브 등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무죄 부분들이 하나둘씩 유죄로 바뀌자 선고과정을 지켜보던 삼성임직원들 사이에선 한숨이 터져나왔습니다.오늘 선고를 통해 3년 이상을 끌어왔던 불확실성이 제거되기를 기대했지만 한치 앞을 알2019-08-30 08:56:35조은아 기자
-
[2020 슈퍼예산] 정부, 중소기업에 신기술 'DNA' 수혈…스마트화 전력[앵커멘트]정부가 중소기업의 스마트혁신을 일으키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분야에 내년도 예산을 집중 편성했는데요. 일본 수출 규제에 대응해 소재, 부품, 장비 분야를 지원하고 미래산업 지역을 육성하는데도 초점을 맞췄습니다. 윤석진 기자가 주요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기사내용]내년부터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데 대규모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정부는 오늘 내년 예산에서 1조 9,150억원을 스마트 혁신을 일으키는 데 사용키로 했다고 밝혔습니다.올해보다2019-08-30 08:51:34윤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