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T-안랩, 실시간 해킹 대응 ‘통합TI 1.0’ 개발·적용 완료
KT와 안랩이 공동으로 네트워크와 엔드포인트 위협정보를 통합해 신·변종 해킹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통합TI(Threat Intelligence, 위협정보) 1.0’ 개발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통합TI 1.0’은 위협정보의 ▲실시간 업데이트 ▲국내 최적화 ▲상관관계 분석이라는 차별화된 강점이 있다.
‘통합TI 1.0’은 KT 네트워크 빅데이터에서 수집한 TI인 블랙리스트 IP(Black List IP), URL, 패턴(Pattern) 정보와 안랩의 V3백신 등 엔드포인트의 빅데이터 TI인 악성코드, 위협 행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하고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통합 수집한 정보를 바로 보안 제품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정보보안 벤더사가 제공하는 TI 시그니처 업데이트 대비 최신 위협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또 통합TI 1.0은 국내 통신사와 보안기업 위협정보를 통합해 국내 기업과 기관에 맞춤형 탐지와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네트워크와 엔드포인트 위협정보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개별 분석 시 놓칠 수 있는 위협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KT는 ‘통합 TI 1.0’을 안랩 트러스트가드(TrusGuard) UTM 보안장비에 시그니처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며, KT의 보안 서비스인 기가 와이파이 시큐어(GiGA WiFi Secure)에도 적용했다. 향후에는 국내외 정보보안 사업자와 제휴를 통해 연동되는 보안장비를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권치중 안랩 대표는 “안랩의 전문적인 보안대응 경험에서 나온 엔드포인트 TI와 KT 전국 최대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나오는 TI를 통합해 다양하고 고도화된 위협을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통합 TI를 양사가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근 KT 통합보안플랫폼사업단장 전무는 “KT와 안랩은 통합 TI의 실시간성, 정확성,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양사의 TI 플랫폼 연동과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향후 국내 정보보안 전문기업들은 제품에 KT-안랩 통합 TI를 연동하는 등 국내 정보보안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보안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최기영 후보자 "모친 기초연금 수령, 생각 짧았다...시스템반도체 집중투자해야"[앵커멘트]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정치적 편향 등 논란에 대해 "생각이 짧았다, 송구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한편 소재, 부품, 장비 분야 기술력이 일본에 비해 뒤쳐졌지만 연구개발을 통해 빨리 따라잡을 수 있다면서 시스템반도체 부문도 집중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의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논란과 관련해 "생각이 짧았다"고 답변했습니다.100억대 자산가인 최 후보2019-09-03 08:53:05이명재 기자
-
[뉴스후] 'SK vs LG' 자존심 싸움된 배터리 난타전… 경쟁국 도와주는 격 우려[앵커멘트]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난타전'이 심상치 않습니다. 배터리 기술과 관련한 두 회사의 법적다툼이 갈수록 확대되고, 또 계열사로도 번지면서 좀처럼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 구광모' 의 자존심 대결로 치달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두 회사의 배터리 난타전은 이달 말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이슈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산업부 김주영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질문1>먼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소송, 어디서부터 시작된건2019-09-03 08:48:45김주영 기자
-
[MTN단독] 넷마블이 위메이드에 3억짜리 '소액소송' 건 이유는?넷마블이 지난해 위메이드가 '이카루스M'의 배급계약을 파기한 것을 두고 소송을 제기, 양사간의 법정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소송가액은 3억원에 불과한데, 넷마블이 '굳이' 이같은 규모의 소액소송을 제기한 것은 금전적 이해를 떠나 일방적인 배급계약 파기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당시 위메이드 입장에선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평가도 있는데, 관련한 법원의 판단은 향후 게임 출시를 둔 개발사와 배급사간의 분쟁에서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넷마블이2019-09-03 08:46:04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