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SKT· KT·LG유플…투자비·요금·망사용료 '3중고'
[앵커멘트]
이동통신사들이 5G 기지국을 구축하느라 초기비용이 급증하면서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하반기에도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파수 재할당에 수조원의 돈을 쏟아부어야 하는데다, 요금인하 압박과 망사용료 논란 등 직면한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이동통신 3사가 5G 관련 투자비용 증가에 요금인하 압박, 망사용료 문제 등으로 골치가 아픈 상황입니다.
통신3사가 올해 기지국 구축 등에 쓰는 비용은 약 8조원. 5G 상용화 첫해인 만큼 전체 커버리지의 70% 수준까지 망을 깔겠다는 계획입니다.
5G 단말기 가격이 비싼데다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인식이 많아 여러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기지국 확대, 서비스 최적화에 주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마케팅 등 영업비용이 늘어나는 것도 고민거리입니다. 최근 출시된 갤럭시노트10 외에 갤럭시폴드, 아이폰11 등 새 프리미엄폰이 연이어 나올 예정이어서 고가의 보조금으로 고객을 붙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SKT,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가 5G 주파수 경매에 쓴 돈은 3조6,000억원. 2년 뒤 정부의 5G용 주파수 재할당이 예정되어 있어서 수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다시 쏟아부어야 합니다.
5세대 이동통신이 향후 10년간 주요 수익원이 된다는 점에서 주파수 확보 전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시민단체 등의 5G 요금인하 요구도 이통사에게 큰 부담입니다. 가뜩이나 돈 나갈 곳이 많은데 수익성이 적은 저가상품을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꺼려합니다.
처음으로 4만원대 요금제를 출시한 LG유플러스와 달리 SK텔레콤과 KT는 여전히 검토만 하고 있습니다.
망 이용대가·증설 등 비용 분담을 원하는 통신사, 돈을 낼 수 없다며 버티는 글로벌 CP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이통사들은 방통위-페이스북 소송 진행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각종 비용상승으로 오랜 기간 실적 악화에 시달린 이통사들이 악재를 딛고 실적반등을 꾀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입니다.
이명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최기영 후보자 "모친 기초연금 수령, 생각 짧았다...시스템반도체 집중투자해야"[앵커멘트]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정치적 편향 등 논란에 대해 "생각이 짧았다, 송구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한편 소재, 부품, 장비 분야 기술력이 일본에 비해 뒤쳐졌지만 연구개발을 통해 빨리 따라잡을 수 있다면서 시스템반도체 부문도 집중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의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논란과 관련해 "생각이 짧았다"고 답변했습니다.100억대 자산가인 최 후보2019-09-03 08:53:05이명재 기자
-
[뉴스후] 'SK vs LG' 자존심 싸움된 배터리 난타전… 경쟁국 도와주는 격 우려[앵커멘트]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난타전'이 심상치 않습니다. 배터리 기술과 관련한 두 회사의 법적다툼이 갈수록 확대되고, 또 계열사로도 번지면서 좀처럼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 구광모' 의 자존심 대결로 치달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두 회사의 배터리 난타전은 이달 말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이슈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산업부 김주영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질문1>먼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소송, 어디서부터 시작된건2019-09-03 08:48:45김주영 기자
-
[MTN단독] 넷마블이 위메이드에 3억짜리 '소액소송' 건 이유는?넷마블이 지난해 위메이드가 '이카루스M'의 배급계약을 파기한 것을 두고 소송을 제기, 양사간의 법정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소송가액은 3억원에 불과한데, 넷마블이 '굳이' 이같은 규모의 소액소송을 제기한 것은 금전적 이해를 떠나 일방적인 배급계약 파기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당시 위메이드 입장에선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평가도 있는데, 관련한 법원의 판단은 향후 게임 출시를 둔 개발사와 배급사간의 분쟁에서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넷마블이2019-09-03 08:46:04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