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엠 북카페] 디지털 플랫폼에서 노동을 사고판다 -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베이비붐 세대는 자식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정된 삶을 살려면 직장이 있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회사에 취직을 해야 비로소 어른이 되고 인간답게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밀레니얼세대는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진 시대에 성인으로 살아가고 있다.
시대가 변하는 만큼 일의 의미와 형태도 변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10년 후 세계 인구의 절반이 프리랜서로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프리랜서, 독립계약자, 임시직과 같은 대안적 근로 형태인 ‘긱 경제(gig economy)’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최근 카카오 ‘카풀’과 같은 공유 앱들과 더불어 ‘알바몬’, 아마존 인력 중개 서비스인 ‘매커니컬터크’ 같은 앱들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플랫폼에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만나 그때그때 근로계약이 이뤄지는 새로운 경제모델이 확산되고 있다.
긱 경제는 더 이상 꼰대 같은 상사도 불편한 출퇴근도 필요 없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경제활동이다. IT 전문가나 기자, 크리에이터들처럼 희소성이 크고 전문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은 한 곳에 얽매이지 않고, 프로젝트 단위로 일하면서 경제적 자유를 누린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청소원, 운전기사와 같이 희소성이 적은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에게 긱 경제는 실업과 번아웃에 대한 차악의 선택일 뿐이다.
이 책은 긱 경제의 가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조망한다. 저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미디어 스타트업인 ‘쿼츠(Quartz)’의 부편집장으로, 그간 오랫동안 ‘일의 미래’를 주제로 파헤쳐 왔다. 그녀는 ‘메커니컬터크’와 이케아가 인수한 인력중개 플랫폼 ‘태스크래빗’ 등에 직접 가입해 일을 해본 경험을 토대로, 긱 경제에 대한 생생한 체험담을 이 책에 싣기도 했다.
책은 구체적으로 캔자스시티의 우버 택시운전사 겸 웨이터, 뉴욕에서 정직원 생활을 그만두고, 긱스터에 합류한 잘나가는 프로그래머, 메커니컬터크를 통해 소득을 벌어들이는 캐나다의 워킹맘과 같은 다양한 인물들의 발자취를 쫓는다. 이를 통해 미래 직업에 대한 전망을 세밀하게 그려간다.
아울러 저자는 다양한 기업과 경제 전문가들의 찬반양론을 함께 살펴보는 것도 잊지 않는다. 실리콘밸리를 필두로 긱 경제가 새롭게 낳은 많은 일자리들, 그리고 그들 중 하나이던 청소 전문 스타트업(Managed by Q)이 직원을 비용이 아닌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하며 계약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 흑자 경영에 들어선 색다른 사례도 보여준다.
저자는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면서 제도나 지원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긱 경제로 인한 소득 불안정 문제, 사회보험 등 복리후생의 부재 등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해결해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짚어본다.
이 책은 직장과 직장의 미래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계속해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소개한다. 독자들은 ‘현재 세대가 과거 세대처럼 풍족할 수 있을지’, ‘일의 의미와 성과를 함께 챙길 수 있을지’와 같은 여러 질문들에 대해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새라 케슬러 지음 김고명 옮김│더퀘스트 펴냄│1만3200원(전자책)
* [테크엠 북카페]는 국내 최대 전자책 업체 리디북스와 함께 진행합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최기영 후보자 "모친 기초연금 수령, 생각 짧았다...시스템반도체 집중투자해야"[앵커멘트]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정치적 편향 등 논란에 대해 "생각이 짧았다, 송구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한편 소재, 부품, 장비 분야 기술력이 일본에 비해 뒤쳐졌지만 연구개발을 통해 빨리 따라잡을 수 있다면서 시스템반도체 부문도 집중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가 모친의 기초연금 부적절 수령 논란과 관련해 "생각이 짧았다"고 답변했습니다.100억대 자산가인 최 후보2019-09-03 08:53:05이명재 기자
-
[뉴스후] 'SK vs LG' 자존심 싸움된 배터리 난타전… 경쟁국 도와주는 격 우려[앵커멘트]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난타전'이 심상치 않습니다. 배터리 기술과 관련한 두 회사의 법적다툼이 갈수록 확대되고, 또 계열사로도 번지면서 좀처럼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 구광모' 의 자존심 대결로 치달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두 회사의 배터리 난타전은 이달 말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이슈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산업부 김주영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질문1>먼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소송, 어디서부터 시작된건2019-09-03 08:48:45김주영 기자
-
[MTN단독] 넷마블이 위메이드에 3억짜리 '소액소송' 건 이유는?넷마블이 지난해 위메이드가 '이카루스M'의 배급계약을 파기한 것을 두고 소송을 제기, 양사간의 법정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소송가액은 3억원에 불과한데, 넷마블이 '굳이' 이같은 규모의 소액소송을 제기한 것은 금전적 이해를 떠나 일방적인 배급계약 파기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당시 위메이드 입장에선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평가도 있는데, 관련한 법원의 판단은 향후 게임 출시를 둔 개발사와 배급사간의 분쟁에서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넷마블이2019-09-03 08:46:04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