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10월 운행하는 '라이언 택시'…카카오·타다 경쟁 본격화
택시 가맹업체 모집해 약 1000대 규모 택시 운용 계획
[앵커멘트]
카카오모빌리티가 다음달 대형 택시 서비스 '라이언 택시'를 내놓습니다. 타다와 비슷한 외관을 띄고 유상 운송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인데, 대규모 자본을 업고 뛰어드는 만큼 한차례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11인승 승합차를 활용한 대형 택시 서비스인 '라이언 택시'
최근 직접 인수한 택시회사와 여러 가맹 업체들을 모집해 약 1000대 규모의 택시를 운용할 계획입니다.
근무 조건으로 정규직에 주야 2교대, 주 6일 근무, 월 세전 260만원의 급여가 제시됐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택시와 정보기술(IT)을 접목해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점 적용하려는 것이라며 10월에 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업계는 현재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타다 베이직과 경쟁구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외형상으로는 11인승 카니발 차량으로 운송 영업을 하는 '타다'와 비슷하지만 렌터카 대여 형식이 아닌 정식 택시 면허를 갖고 운영된다는 점이 결정적인 차이입니다.
카카오의 IP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해 외관을 꾸며 대중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가져갈 예정입니다.
관건은 수익화. 수수료는 운송 수입의 10%를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이번 택시 제도 개편안에 대한 가장 큰 수혜자가 카카오라는 시각도 나옵니다.
현재 카카오 같은 자본력을 가진 대형업체가 면허를 대규모로 사들이며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그렇지 못한 스타트업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
카카오가 이미 택시 호출 시장에 뛰어들어 데이터를 쌓아놓은 상황에서, 여러 ICT 기술로 택시 공급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수연(tout@mtn.co.kr)입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3조원' 퀵서비스 시장, LGU+ '디버' 돌풍 일으킬까[앵커멘트]LG유플러스가 통신사로는 처음으로 일반인 배송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동수단이 있으면 누구나 택배 물품을 전달할 수 있는 건데요. 타사 대비 요금, 수수료를 낮춰 고객들을 확보하고 시장 점유율을 늘린다는 전략입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운송수단을 보유한 일반인이 고객의 택배 물품을 원하는 시간에 가져다주는 퀵서비스 경쟁이 불붙고 있습니다.국내 퀵서비스 관련 시장 규모가 약 3조원에 달할 정도로 크고 당일배송 업체간 경쟁도 매우 치열한 상황.쿠팡이 지난해 본인의 차량으로 물품2019-09-11 09:13:41이명재 기자
-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그리드원, RPA 이지봇 체험판 무료 배포인공지능 전문 솔루션 기업 그리드원이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솔루션 이지봇(AutomateOne ezbot)을 무료로 배포한다고 10일 밝혔다.이지봇은 소프트웨어 로봇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직접 예약 실행하는 기능을 갖춘 RPA 솔루션이다. 이번에 제공되는 버전은 기존 유료 솔루션과 동일하게 기능 제한 없이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특히 이지봇에는 사용자의 동선을 완벽하게 자동으로 녹화(레코딩)할 수 있는 ez레코드 기능이 적용됐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 조작 없이 사람의 마우스2019-09-10 11:10:04김태환 기자
-
'정암 풍력 단지' 육상풍력 확산 신호탄… 주민 수용성과 국산화까지 한 번에[앵커멘트]태양광 발전 위주의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이 최근 조금씩 풍력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발전 효율이 태양광보다 좋은데다, 발전이 끝난 후 폐기물도 적어 더 깨끗한 에너지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풍력 발전소도 조성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환경을 훼손하게 돼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빚는데요. 국내 한 발전사가 친환경 공법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했습니다.문수련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기사내용]해발 1,400미터 높이의 능선을 따라 설치된 풍력발전기가 힘차게돌아갑니다.여기엔 1000억원 가까운 사업비가2019-09-10 11:07:57문수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