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세계 3대 반도체 장비 社' 램리서치, 한국에 R&D센터 완전 이전…韓 차세대 반도체 경쟁력 높인다
[앵커멘트]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업체인 미국 '램리서치'가 연구개발(R&D) 센터를 한국으로 완전 이전합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함께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건데요. 램리서치가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의 제품을 적극 활용하기로 하면서, 우리나라의 차세대 반도체 분야 경쟁력도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연 매출 10조 원이 넘는 글로벌 반도체 장비 회사 램리서치.
세계 3대 반도체 장비 업체 중 하나로, 반도체를 깎아내는 식각장비 분야에서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램리서치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연구 센터를 한국으로 완전 이전하기로 했습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램리서치는 이달 중 경기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10월에는 정부, 국내 소재·부품사들과 함께 센터 이전을 공식화할 예정입니다.
외국 반도체 장비업체가 본사의 연구 개발 기능 전체를 한국으로 이전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이혁재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 삼성과 하이닉스가 지금 반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거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외국회사가 우리나라에 연구소도 짓고 들어오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관련된 산업도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 같고요.]
램리서치는 지난 2011년부터 한국에서 제조시설을 갖추고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협업해 왔습니다.
앞으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R&D 센터까지 모두 이전하기로 결정한 건데, 이 과정에서 자사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의 최대 75%까지 한국산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반도체 장비 업체 관계자는 "램리서치가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반도체 시장지배력이 높을 거라고 보는 것"이라며 "소재 부품 단에서부터 한국의 차세대 반도체 경쟁력을 올릴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 기업의 R&D 투자가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 기반이 한 단계 더 뛰어오르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팹리스 불모지서 퀄컴·NXP에 도전하는 텔레칩스…실질적 정부 지원 절실[앵커멘트]그동안 우리나라는 반도체 설계, 즉 팹리스 분야의 불모지였습니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퀄컴, NXP 등 글로벌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고군분투하는 중소 팹리스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팹리스 기업들은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합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차량속도와 같은 주행 정보를 앞 창문에 띄웁니다.국내 팹리스 기업 텔레칩스가 개발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데모 전시입니다.텔레2019-09-23 09:12:57조은아 기자
-
iOS 이용자에게만 비싼 웨이브....달라도 너무 다른 애플·구글 사업 관행SK텔레콤과 지상파 3사의 OTT 서비스 합작으로 주목받은 웨이브. 갤럭시S 시리즈와 같은 안드로이드 단말기로 웨이브의 베이직 요금제 월정액에 가입하려면 7900원을 지불해야 한다. 반면 아이폰 이용자는 1만2000원을 내야 한다. 무려 4100원이나 돈을 더 내는 셈이다.공식 출범에 앞서 웨이브는 다른 OTT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소개하며 가격 경쟁력을 어필했는데, 웨이브는 안드로이드 단말 기준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웨이브 뿐만이 아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경우 안드로이드 이용자는2019-09-23 09:09:10서정근 기자
-
[MTN단독] 삼성전자 '댑마켓' 비즈니스 잰걸음...글로벌 '합종연횡'[앵커멘트]삼성전자가 블록체인 기반 댑마켓 비즈니스에서 카카오와 공조하는 한편 유럽으로 서비스 권역을 확장합니다. 해당 분야 사업과 투자를 진행하는 페이스북, 구글의 행보도 이목을 모으는데, 관련한 동향을 서정근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기사내용]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크립토 게임 시장 글로벌 1위를 달리는 디지털 고양이 수집게임 '크립토 키티'입니다.'크립토 키티' 개발사 대퍼 랩스는 지난해 연말 15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는데, 이 클럽딜에 구글벤처스, 삼성넥스트 등2019-09-23 09:03:32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