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유명 포털 광고 대행 사칭한 금전 피해 '여전'…구제책은
올해 8월 기준 온라인광고분쟁 접수 건수 3600건 초과
[앵커멘트]
네이버와 같은 대형 포털의 공식 대행사인것처럼 광고주를 현혹해 광고 구매를 권유하고 금전을 요구하는 사기성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막을 뚜렷한 대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올해 1월 인터넷 쇼핑몰을 개업한 김모씨. 개설을 하자마자 '네이버 담당자'라고 자신을 소개한 광고 대행사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네이버가 지정한 공식업체인줄 알고 계약을 했지만 아닌 것을 알게 됐고 바로 계약을 해지하려 하자 구두상으로는 공지하지 않았던 수십만원 상당의 위약금을 청구받았습니다.
[김모씨 / 온라인 광고 분쟁 관련 사례자 : 설 끝나고 취소 요청서를 받았는데 위약금을 48만원을 내라는거예요. 66만원을 결제했는데. 취소 요청 내역을 봤더니 만들지도 않은 페이스북 비용이 들어가 있었고..]
실제 유명 포털 사이트와 제휴업체인것처럼 소개하며 광고주를 현혹해 상단 고정노출이나 블로그 개설을 해준다며 광고비를 요구하고 과도한 위약금을 무는 사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
온라인광고분쟁조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이와 같은 온라인광고분쟁 접수 건수는 3200~3300건 수준. 올해는 8월 말 기준으로 벌써 3600건이 넘어 연말까지 5000건이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네이버 관계자 : 네이버 검색광고는 알고리즘에 의해 노출 순위가 정해지며, 광고비 역시 이용자가 광고를 클릭한만큼 사후에 정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네이버 검색결과 상위 노출을 보장하거나 사전에 금전을 요구하는 대행사는 주의해야 합니다.]
신고 접수돼 조정 신청에 들어가도 강제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피해자가 제대로 보상받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남환우 / 온라인광고분쟁조정위원회 사무총장 : 계약서에 유명한 포털사인지 아닌지 명확히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확인절차 없이 단순하게 무료 서비스에 현혹되서 하다 보니까 이런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는거죠.]
현재 네이버, 카카오, 구글코리아 등으로 구성된 '인터넷 광고 피해 예방 협의체'는 기망·허위·과장 광고, 부당 광고계약 체결 등과 관련한 구제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인만큼 광고를 하려는 사업주들의 각별한 유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팹리스 불모지서 퀄컴·NXP에 도전하는 텔레칩스…실질적 정부 지원 절실[앵커멘트]그동안 우리나라는 반도체 설계, 즉 팹리스 분야의 불모지였습니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퀄컴, NXP 등 글로벌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고군분투하는 중소 팹리스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팹리스 기업들은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합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차량속도와 같은 주행 정보를 앞 창문에 띄웁니다.국내 팹리스 기업 텔레칩스가 개발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데모 전시입니다.텔레2019-09-23 09:12:57조은아 기자
-
iOS 이용자에게만 비싼 웨이브....달라도 너무 다른 애플·구글 사업 관행SK텔레콤과 지상파 3사의 OTT 서비스 합작으로 주목받은 웨이브. 갤럭시S 시리즈와 같은 안드로이드 단말기로 웨이브의 베이직 요금제 월정액에 가입하려면 7900원을 지불해야 한다. 반면 아이폰 이용자는 1만2000원을 내야 한다. 무려 4100원이나 돈을 더 내는 셈이다.공식 출범에 앞서 웨이브는 다른 OTT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소개하며 가격 경쟁력을 어필했는데, 웨이브는 안드로이드 단말 기준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웨이브 뿐만이 아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경우 안드로이드 이용자는2019-09-23 09:09:10서정근 기자
-
[MTN단독] 삼성전자 '댑마켓' 비즈니스 잰걸음...글로벌 '합종연횡'[앵커멘트]삼성전자가 블록체인 기반 댑마켓 비즈니스에서 카카오와 공조하는 한편 유럽으로 서비스 권역을 확장합니다. 해당 분야 사업과 투자를 진행하는 페이스북, 구글의 행보도 이목을 모으는데, 관련한 동향을 서정근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기사내용]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크립토 게임 시장 글로벌 1위를 달리는 디지털 고양이 수집게임 '크립토 키티'입니다.'크립토 키티' 개발사 대퍼 랩스는 지난해 연말 15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는데, 이 클럽딜에 구글벤처스, 삼성넥스트 등2019-09-23 09:03:32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