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단독] 현대차-두산 수소 산업 손 잡는다…세계 최초 듀얼 발전용 연료전지 개발
평시 필요 전력 두산 연료전지, 추가 전력 현대차 연료전지로 보완
현대자동차그룹과 두산그룹이 수소 분야에서 손을 잡기로 했습니다. 각자 가지고 있는 연료전지 기술을 조합해 더 효율적인 발전용 연료전지를 만들기 위해선데요. 수소 산업을 대표하는 두 대기업의 협업은 수소 산업이 한층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대자동차와 두산퓨얼셀이 양사가 가진 연료전지 기술을 조합해 새로운 형태의 듀얼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발전용 연료전지는 수소를 이용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수단입니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효율성이 높아 화석연료 발전을 대체할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 충주공장에 수소전기차 넥쏘에 탑재되는 수소연료전지 모듈로 비상용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며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두산그룹은 연료전지 사업 진출 3년만에 수주 1조원을 넘어섰고, 연료전지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두산퓨얼셀을 분사하기도 했습니다.
현대차와 두산이 발전용 연료전지분야에서 협업을 하는 이유는 두 회사가 가진 연료전지 기술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두산퓨얼셀의 인산형 PAFC 연료전지는 성능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력 생산량을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대차의 고분자, PEMFC 연료전지는 전력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평상시 필요한 전력은 두산퓨얼셀의 연료전지로, 추가로 필요한 전력은 현대차의 연료전지로 생산하면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더 오래 쓸 수 있는 듀얼 연료전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녹취]수소업계 관계자
이 건물이 상시 100kW를 쓴다고 하면 100kW는 PAFC(두산 방식)를 붙이면 됩니다. 그런데 전기가 더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 PEMFC(현대차 방식)를 설치를 해놓으면 꺼져 있다가 갑자기 전기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수소전기차 분야에서 앞선 수소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도 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권순우입니다.
권순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구광모 LG 회장, "생존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체질 변화와 빠른 실행" 강조구광모 LG 회장이 경기도 이천 인화원에서 취임 후 처음으로 사장단 워크숍을 개최하고, 위기극복을 위한 체질 변화를 강조했습니다.구광모 회장은 "L자 형 경기침체 등 지금까지와는 다른 양상의 위기에 앞으로의 몇 년이 우리의 생존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습니다.구 회장은 "위기극복을 위해 근본적인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하고 사업 방식과 체질을 철저하게 변화시켜 나가야한다"고 주문했습니다.특히, 구 회장은 "사장단이 '주체'가 되어 실행 속도2019-09-25 09:19:25조은아 기자
-
현대차, 자율주행 솔루션 업체로 도약…2.4조 JV 설립[앵커멘트]현대자동차그룹이 완전 자율주행차를 2024년 양산하는 것을 목표로 미국의 앱티브와 합작법인을 설립했습니다. 총 투자금액은 40억 달러, 이중 현대차그룹은 절반인 20억 달러를 대기로 했습니다. 외부 투자 기준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권순우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기사내용]현대차그룹이 2조 4천억원을 투자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분야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앱티브와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습니다.앱티브는 4단계 이상 완전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구글의 웨이모, GM의 크루즈에 이어 3위2019-09-25 09:14:29권순우 기자
-
김준구 대표 "네이버웹툰, 아시아의 디즈니로 키우겠다""좋은 IP를 바탕으로 영상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키우며 아시아의 디즈니로 거듭나겠다."네이버 자회사 네이버웹툰의 김준구 대표는 24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네이버 서비스 밋업'에서 "영상 콘텐츠 경쟁 속에서 원천 콘텐츠로서 가치를 높이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네이버웹툰은 지난 2004년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지금까지 업계 최초로 승급 시스템 도입, 요일제 웹툰 도입, 미리보기 유료 서비스 도입 등 웹툰 생태계를 구축해왔2019-09-25 09:11:32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