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드론이 원전 공격한다면?…'안티드론' 개발 서두른다면 충분히 방어
[앵커멘트]
사우디아라비아 사태로 우리나라도 안보시설에 대한 드론의 공격 위협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국토교통부와 한수원이 안티드론 장비를 이용해 드론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지를 시험해 봤습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는데 보완할 점도 밝혀졌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레이다에 고리원전으로 향하는 물체가 탐지됩니다.
경보음이 울리며 미확인 비행물체의 접근을 알립니다.
고리원전으로 날아가는 드론인데, 몸집이 워낙 작아 경보가 울린 후 한참이 지나서야 나타납니다.
전파교란 장비를 드론에 쏘자, 드론이 그 자리에서 멈춰 버렸습니다.
이후 한동안 조종 전파를 받지 못한 드론은 이내 추락했습니다.
'재머'로 불리는 '안티 드론' 장비로 전파를 교란해 드론을 먹통 상태로 만든 겁니다.
[김보람 드론 방호 기술 개발사 : 드론탐지 레이더나 무력화 장비, 시스템이 나와 있지만 실제 원자력발전소라는 국가 주요시설에서 적용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였습니다.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사용했을 때 어떤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다만 이번 실증 시험을 통해 해결해야할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
드론 공격에 대한 위협은 빠르게 높아지는 데 비해 방호 체계는 시작 단계이다 보니 제대로 된 완성장비 개발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또 전파 교란 등 방호에 필요한 기술이 현행법으로 금지돼 있어 '법 개정' 또는 일시적으로 규제를 면제해주는 '규제 샌드박스' 적용이 필요합니다.
[이병석 차장 한국수력원자력 정보보안실 : 전파교란기는 지금 전파법에서 전파교란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주도를 해서 지금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와 고리원전은 연말까지 드론 방호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추가 실증을 통해 기술적인 보완점을 찾아갈 방침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염현석입니다.
염현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엠 북카페]과거에 안주하면 공룡 기업도 몰락 - 디지털 혁신만이 살 길이다“코닥, 노키아, 블록버스터.”이들은 디지털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 비즈니스에 안주하던 공룡 기업들이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초일류 기업들마저 디지털 혁신을 못하면 사라진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4차 산업혁명 시대는 유니콘 기업들이 살아남게 된다. 이들은 디지털 시장의 요구와 과거 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숨겨져 있던 고객의 니즈를 해결함으로써 탄생한다.그리고 대부분의 산업에서 생태계의 위계질서와 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정해진 규모의 시장을 두고 동종2019-10-05 16:24:33김태환 기자
-
드론이 원전 공격한다면?…'안티드론' 개발 서두른다면 충분히 방어[앵커멘트]사우디아라비아 사태로 우리나라도 안보시설에 대한 드론의 공격 위협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국토교통부와 한수원이 안티드론 장비를 이용해 드론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지를 시험해 봤습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는데 보완할 점도 밝혀졌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레이다에 고리원전으로 향하는 물체가 탐지됩니다.경보음이 울리며 미확인 비행물체의 접근을 알립니다.고리원전으로 날아가는 드론인데, 몸집이 워낙 작아 경보가 울린 후 한참이 지나서야 나타납니다.전파교란 장비를 드론에2019-10-04 09:22:01염현석 기자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기술유출 막을 수 있는 방안 모색"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제도적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성윤모 장관은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배터리 같은 국가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강길부 무소속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강 의원은 "최근 중국 등 해외 배터리 기업에서 국내 인재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어 기술 유출의 위험이 있다"면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했지만 기소율이 7%밖에 되지 않아2019-10-04 09:18:14문수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