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국감] 과기부 '암호화폐 무단채굴 사건'에 열악한 연구기관 환경까지 '도마'
국가 연구기관 허술한 연구용 서비 관리 실태 지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에서 '암호화폐 무단채굴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국가 연구기관의 허술한 연구용 서버 관리 실태가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2일 바른미래당 박선숙 의원실에 따르면, 과기정통부 산하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AIST, 기초연구원(IBS) 연구용 서버에 2018년 5월부터 암호화폐 채굴 프로그램(모네로, 이더리움)이 무단으로 설치·가동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서 채굴된 암호화폐까지 유출돼 한국지질연구원에서 200만원, IBS에서 100만원의 편취가 발생했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2018년 10월 국가사이버안전센터로부터 채굴 프로그램 감염 점검을 요청받고도 확인하지 못했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기정통부는 채굴 악성코드를 확인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해외 75개 IP만 차단하고, 악성코드 감염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과기부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열악한 환경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됐다.
지난 2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과기부 국정감사에서 박선숙 의원은 재료연구소의 지하연구실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대책을 발표하며 재료연구소 등을 국가연구실로 지정했다"며 "그런데 의원실에서 지난달 경남 창원의 재료연구소를 가보니 공간이 부족해 22개의 지하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재료연구소는 아직 못 가봤고 한국화학연구원은 가 봤는데 중요한 연구소임에도 가건물 연구실이 있는 등 열악했다"며 "우리나라 출연연들의 어려운 상황을 잘 살펴보고 개선하겠다"고 답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엠 북카페]과거에 안주하면 공룡 기업도 몰락 - 디지털 혁신만이 살 길이다“코닥, 노키아, 블록버스터.”이들은 디지털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 비즈니스에 안주하던 공룡 기업들이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초일류 기업들마저 디지털 혁신을 못하면 사라진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4차 산업혁명 시대는 유니콘 기업들이 살아남게 된다. 이들은 디지털 시장의 요구와 과거 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숨겨져 있던 고객의 니즈를 해결함으로써 탄생한다.그리고 대부분의 산업에서 생태계의 위계질서와 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정해진 규모의 시장을 두고 동종2019-10-05 16:24:33김태환 기자
-
드론이 원전 공격한다면?…'안티드론' 개발 서두른다면 충분히 방어[앵커멘트]사우디아라비아 사태로 우리나라도 안보시설에 대한 드론의 공격 위협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국토교통부와 한수원이 안티드론 장비를 이용해 드론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지를 시험해 봤습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는데 보완할 점도 밝혀졌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레이다에 고리원전으로 향하는 물체가 탐지됩니다.경보음이 울리며 미확인 비행물체의 접근을 알립니다.고리원전으로 날아가는 드론인데, 몸집이 워낙 작아 경보가 울린 후 한참이 지나서야 나타납니다.전파교란 장비를 드론에2019-10-04 09:22:01염현석 기자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기술유출 막을 수 있는 방안 모색"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제도적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성윤모 장관은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배터리 같은 국가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강길부 무소속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강 의원은 "최근 중국 등 해외 배터리 기업에서 국내 인재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어 기술 유출의 위험이 있다"면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했지만 기소율이 7%밖에 되지 않아2019-10-04 09:18:14문수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