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SK텔레콤 5G 기반 AR/VR 기술로 몰입 경험 선보인다
SK텔레콤이 국내 최대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행사인 ‘코리아 VR 페스티벌(KVRF) 2019’에서 5G 기반 기술을 활용한 몰입 경험을 선보인다.
몰입 경험(Immersive Experience)은 디지털 공간이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며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험을 지칭한다.
2일 SK텔레콤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KVRF 2019’에서 ▲점프(Jump) 소셜 VR ▲AR 동물원 ▲롤 챔피언스 코리아(LCK) VR 중계 ▲점프 VR 콘텐츠 등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전시 공간을 관람객들이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사라지는 ‘몰입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대표 체험 공간인 ‘소셜 VR 펍(pub)’에서는 관람객들이 ‘점프 소셜 VR’ 서비스를 음료와 함께 즐길 수 있다. VR 기기를 착용한 관람객이 ‘점프 소셜 VR’에 접속하면 실제 전시장과 똑같은 가상 공간에서 영화, 스포츠 경기 등을 시청할 수 있다.
점프 AR 대표 서비스인 ‘AR 동물원’ 역시 전시장 내 AR 동물 출몰 지역에서 체험할 수 있다. ‘AR 동물원’은 올림픽 공원에서 ‘자이언트 캣’ 인증샷 열풍을 일으킨 데 이어, WWF(세계자연기금)과 진행했던 ‘동물없는 동물원’ 캠페인으로 동물 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SK텔레콤은 KVRF 기간 중 열리는 ‘VR·AR 그랜드 챌린지’를 후원해 국내 초실감 미디어 생태계 육성에도 나선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는 ‘VR·AR 그랜드 챌린지’는 국내 학생,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 공모전이다.
SK텔레콤은 모든 수상팀에게 기술 협력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밖에 우수한 평가를 받은 팀에게는 SK텔레콤이 후원한 ‘SKT 점프(Jump)상’이 수여된다.
전진수 SK텔레콤 5GX서비스사업단장은 “SK텔레콤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VR · AR 대중화에 앞장서 왔다”며 “e스포츠 경기장과 동물원이 우리 손 안에 들어온 것처럼 고객들에게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경험을 계속해서 선사하겠다”고 밝혔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테크엠 북카페]과거에 안주하면 공룡 기업도 몰락 - 디지털 혁신만이 살 길이다“코닥, 노키아, 블록버스터.”이들은 디지털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 비즈니스에 안주하던 공룡 기업들이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초일류 기업들마저 디지털 혁신을 못하면 사라진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4차 산업혁명 시대는 유니콘 기업들이 살아남게 된다. 이들은 디지털 시장의 요구와 과거 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숨겨져 있던 고객의 니즈를 해결함으로써 탄생한다.그리고 대부분의 산업에서 생태계의 위계질서와 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정해진 규모의 시장을 두고 동종2019-10-05 16:24:33김태환 기자
-
드론이 원전 공격한다면?…'안티드론' 개발 서두른다면 충분히 방어[앵커멘트]사우디아라비아 사태로 우리나라도 안보시설에 대한 드론의 공격 위협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국토교통부와 한수원이 안티드론 장비를 이용해 드론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지를 시험해 봤습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는데 보완할 점도 밝혀졌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레이다에 고리원전으로 향하는 물체가 탐지됩니다.경보음이 울리며 미확인 비행물체의 접근을 알립니다.고리원전으로 날아가는 드론인데, 몸집이 워낙 작아 경보가 울린 후 한참이 지나서야 나타납니다.전파교란 장비를 드론에2019-10-04 09:22:01염현석 기자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기술유출 막을 수 있는 방안 모색"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제도적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성윤모 장관은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배터리 같은 국가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강길부 무소속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강 의원은 "최근 중국 등 해외 배터리 기업에서 국내 인재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어 기술 유출의 위험이 있다"면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했지만 기소율이 7%밖에 되지 않아2019-10-04 09:18:14문수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