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오토메이션애니웨어, AI 기반 서비스형 RPA 플랫폼 출시... RPA 도입 비용 낮출 것으로 기대
오토메이션애니웨어(Automation Anywhere)가 세계 최초로 웹 기반 클라우드 디지털 워크포스(Digital Workforce) 플랫폼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엔터프라이즈 A2019(Automation Anywhere Enterprise A2019, 이하 엔터프라이즈 A2019)’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엔터프라이즈 A2019는 IT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AI 기반 서비스형 RPA(RPA-as-a-Service) 플랫폼으로, 전 세계적인 RPA 도입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엔터프라이즈 A2019는 온프레미스 환경뿐만 아니라 퍼블릭, 프라이빗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 세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서비스형 RPA(RPA-as-a-service)를 14가지 이상의 언어로 원활하게 제공한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는 서비스 형태로 RPA를 제공하는 혁신적 플랫폼인 엔터프라이즈 A2019의 출시로 고객의 RPA 도입 비용과 인프라 장벽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히르 슈클라(Mihir Shukla) 오토메이션애니웨어 CEO 및 공동창업자는 “엔터프라이즈 A2019는 완전히 새롭고, 즉각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많은 기업이 소프트웨어 봇 개발, 구축과 확장 과정에서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제 모든 종류의 웹 브라우저에서 RPA 플랫폼에 간단히 로그인할 수 있게 돼, 기업은 RPA 적용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비즈니스 가치 창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엔터프라이즈 A2019는 사람이 일하고 생각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얻어 구현한 AI 기술이 적용됐다. 또 비즈니스 자동화를 간소화하는 40종의 제품과 175개의 새로운 기능이 포함됐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는 세계에서 3000명이 넘는 고객의 피드백과 수천 시간에 달하는 연구개발 결과를 반영해 자동화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1000억 달러(약 119조4000억 원) 규모의 자동화 시장 기회를 선점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코리아 이영수 지사장은 “국내 많은 고객이 이미 자동화의 혜택을 인식하고 있으며, 최적화된 자동화 도입 프로세스 구현 전략을 고민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며 “멀티 클라우드 가용성, 서비스형 RPA, AI 내재 기능 등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A2019가 국내 고객의 RPA 도입 비용과 인프라 장벽을 혁신적으로 낮추고, 국내 자동화 시장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지현 테크엠 인턴기자 jihyunsports@techm.kr
-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 나선 4차산업혁명위…장병규 위원장 이번엔 잘할까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가 암호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내용이 담긴 대정부 권고안을 조만간 발표한다.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과 맞물려 암호화폐, 암호자산 활용에 대해 같이 고민해나간다는 취지이다.4차산업혁명위는 현재 자금세탁방지 관련 법 개정안이 국회에 올라가 있고 법이 통과될 경우 법적 테두리 안에서 암호화폐를 충분히 이용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4차산업혁명위는 대정부 권고안에 블록체인을 비롯해 암호화폐 관련 사업모델을 규제 샌드박스로 허용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4차산업혁명위2019-10-10 09:04:22이명재 기자
-
[MTN단독]VR업종 탑픽들도 허리띠 졸라맨다신성장 콘텐츠로 주목받은 가상현실(VR) 콘텐츠 업종 대표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며 긴축경영에 나섰다.가상현실(VR) 콘텐츠 테마파크 '몬스터VR'을 운영하는 지피엠이 9월 중 인력을 일부 감축했다. 지피엠은 스코넥엔터테인먼트와 함께 VR 콘텐츠 전업 업체 중 선두권으로 꼽히는 회사다. 스코넥엔터도 사업 확장과 함께 적자폭이 깊어지고 있는 양상이다.VR 업종은 이미 대중화된 기기에 콘텐츠만 얹으면 되는 기존 게임산업과 달리 전용 기기와 콘텐츠, 인프라 등 생태계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영역이다.이동통신사들2019-10-10 09:01:15서정근 기자
-
쓸수록 더 강해지는 인공광합성 촉매 개발…KIST, 불순물 이용한 자가활성화 촉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본부장, 황윤정, 김찬연 박사 연구팀이 쓸수록 더 강해지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연구진은 그동안 오염원으로만 여겨지던 수용액 내 금속 불순물을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역으로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일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지구 온난화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반응은 인공광합성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또 이산화탄소를 자원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2019-10-08 11:46:33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