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중국의 OLED 공습…LCD 이어 OLED도 위협받는 한국 디스플레이
[앵커멘트]
올레드 후발주자였던 중국이 LCD에 이어 올레드까지 대대적으로 투자에 나서면서 매서운 추격에 나섰습니다. 중국의 저가 LCD 공세에 한국 기업들이 주력 사업을 LCD에서 올레드(OLED)로 전환을 서두르는 상황에서 차세대 먹거리인 올레드마저 중국에 쫓기게 됐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LCD 시장을 잠식한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올레드(OLED) 투자를 늘리며 한국 디스플레이를 추격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체 비전옥스는 지난달 말 광저우에 6세대 AMOLED 모듈 생산라인 건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허페이 6세대 올레드 패널 생산라인 투자 규모까지 합치면 비전옥스의 올레드 투자금은 9조원이 넘습니다.
HKC도 후난성에 8.6세대 올레드 생산라인 착공을 시작했습니다.
이곳의 투자규모는 5조 4,000억원 수준으로 오는 2021년부터 TV용 대형 올래드 패널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대대적인 공세에 소형 올레드 디스플레이는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95%가 넘던 삼성디스플레이의 중소형 올레드 패널 시장 점유율이 최근 90% 밑으로 떨어진 것도 그 방증입니다.
플라스틱 기판의 휘는 중소형 올레드는 2~3년이면 따라잡힐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소형, 유리 기판 위에 만들어진 OLED가 중국에서 볼 때 가시권 내에 있다. 그 기간은 길어야 2년 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TV용 대형 올레드 패널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현재 전세계 유일한 대형 올레드 패널 생산자인 LG디스플레이는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해왔지만 아직 시장 규모가 작아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퀀텀닷-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에 약 13조원 규모 투자를 할 예정이지만, 아직 QD-OLED는 완성형 기술이 아닌데다 탕정 사업장의 생산라인을 교체하는 데 2년여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으로 갈 길이 멉니다.
아직까지는 기술 우위에 있지만, 중국의 대대적인 투자로 수율과 가격경쟁력을 따라잡힌다면 LCD에 이어 또다시 추격을 허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 나선 4차산업혁명위…장병규 위원장 이번엔 잘할까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가 암호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내용이 담긴 대정부 권고안을 조만간 발표한다.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과 맞물려 암호화폐, 암호자산 활용에 대해 같이 고민해나간다는 취지이다.4차산업혁명위는 현재 자금세탁방지 관련 법 개정안이 국회에 올라가 있고 법이 통과될 경우 법적 테두리 안에서 암호화폐를 충분히 이용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4차산업혁명위는 대정부 권고안에 블록체인을 비롯해 암호화폐 관련 사업모델을 규제 샌드박스로 허용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4차산업혁명위2019-10-10 09:04:22이명재 기자
-
[MTN단독]VR업종 탑픽들도 허리띠 졸라맨다신성장 콘텐츠로 주목받은 가상현실(VR) 콘텐츠 업종 대표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며 긴축경영에 나섰다.가상현실(VR) 콘텐츠 테마파크 '몬스터VR'을 운영하는 지피엠이 9월 중 인력을 일부 감축했다. 지피엠은 스코넥엔터테인먼트와 함께 VR 콘텐츠 전업 업체 중 선두권으로 꼽히는 회사다. 스코넥엔터도 사업 확장과 함께 적자폭이 깊어지고 있는 양상이다.VR 업종은 이미 대중화된 기기에 콘텐츠만 얹으면 되는 기존 게임산업과 달리 전용 기기와 콘텐츠, 인프라 등 생태계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영역이다.이동통신사들2019-10-10 09:01:15서정근 기자
-
쓸수록 더 강해지는 인공광합성 촉매 개발…KIST, 불순물 이용한 자가활성화 촉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본부장, 황윤정, 김찬연 박사 연구팀이 쓸수록 더 강해지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연구진은 그동안 오염원으로만 여겨지던 수용액 내 금속 불순물을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역으로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일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지구 온난화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반응은 인공광합성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또 이산화탄소를 자원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2019-10-08 11:46:33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