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기계연, 산업용 로봇용 스마트 장치 개발…직관적 조작으로 쉬운 로봇 작업과 충돌 예방 기능까지
국내 연구진이 산업용 로봇을 스마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이 산업용 로봇팔을 더 쉽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교시 장치’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산업현장에서 로봇팔 조작에 필요한 복잡한 장비와 전문가 작업을 대폭 단축시켜, 쉽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또 사람과 충돌을 예방하는 기능도 탑재해 스마트 팩토리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연 첨단생산장비연구본부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실 도현민 박사 연구팀은 로봇에 직접 부착해 사람이 원하는 방향대로 로봇의 관절 축을 움직이거나 끝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 교시 장치를 개발했다. 로봇에 부착된 교시 장치를 직접 손으로 움직이는 만큼 작업 중 충돌을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시켜 안전성도 확보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교시 장치는 로봇팔을 움직이는 ‘마우스’와 비슷하다. 사용자가 로봇에 부착한 교시 장치를 손으로 잡고 마우스처럼 조작하면 장치가 로봇팔 제어기와 통신하며 로봇을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다. 교시 장치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통신으로 로봇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6자유도 마우스를 설계하고, 필터링 알고리즘을 고안해 신호 혼선 없이 6자유도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스마트 교시 장치는 신호부와 충돌예측부로 구분된다. 충돌예측부는 로봇에 부착돼 로봇제어기와 연결을 담당한다. 거리 측정 센서를 내장해 로봇 동작 중에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 교시부는 6자유도 마우스를 포함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고 로봇의 좌표계 변환과 교시점 저장 등 로봇교시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교시부와 충돌예측부는 탈착할 수 있어 교시작업시 교시부를 충돌예측부에 부착해 사용하고, 교시작업이 끝나면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교시 장치를 약 500g 이하의 경량 장비로 만들어 로봇팔 작동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했다. 스마트 교시 장치는 로봇에 부착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직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공간이 좁을 때는 분리해 무선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LED로 충돌 위험을 비롯한 로봇의 교시와 재현 등 동작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만들어 사용자 친화성을 높였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로봇 비전문가도 로봇의 움직임을 쉽게 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로봇 교시를 위해 티칭 펜던트(teaching pendant)가 주로 사용됐다. 티칭 펜던트는 산업용 로봇에 쓰기 위해 개발된 장치로 로봇과 거리를 두고 버튼이나 다이얼을 조작해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이 어렵고 직관적이지 않아 전문 프로그래머가 필요했다.
도현민 책임연구원은 “스마트 교시 장치는 산업용 로봇의 직관적인 교시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친화적으로 개발한 장치”라며 “생산현장에서 로봇 비전문가인 작업자들도 로봇 움직임을 쉽게 교시할 수 있어 공정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방준혁의 코웨이 인수 '묘수'…게임산업에는 '악수'[앵커멘트]넷마블의 웅진코웨이 인수가 가시권에 들어오며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넷마블과 방준혁 의장 입장에선 묘수가 됐는데 게임업종 전반에는 적신호로 받아들여지는 양상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넷마블은 해를 거듭할수록 게임 출시 건수를 줄여왔습니다. 외부 게임 배급은 중단하다시피 했습니다. 성숙기를 맞은 내수 시장에서 성공 확률이 점차 낮아지기 때문이었습니다.카카오와 넥슨, 엔씨의 주력게임들이 맞붙는 4분기 MMORPG 대전에서도 넷마블은 언더독으로 꼽혔습니다. '세븐나이츠22019-10-16 08:50:47서정근 기자
-
IT공룡, 데이터센터 가동 본격화…클라우드 격전지 된 韓[앵커멘트]구글, 오라클 등 글로벌 IT 공룡들이 국내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짓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동 준비에 들어갑니다. 국내 기업들 역시 데이터센터 확장에 나서며 외산 클라우드 공세에 맞서며 디지털 전환 작업에 분주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지난 5월 국내 처음으로 서울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가동에 들어간 오라클.내년 상반기 안에는 춘천에 두번째 데이터센터를 짓고 한국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탐 송 / 한국오라클 사장 :한국은 굉장히 큰 시장이고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하고 있습니2019-10-16 08:47:24박수연 기자
-
하늘에는 플라잉카·땅에는 자율주행차…미래차 세계 최고로 도약2025년 플라잉카,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 2030년 수소, 전기차 판매 비중 30%.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로드맵이 나왔다.정부는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래차 산업 신속 전환을 위한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친환경차 세계 시장 선도,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미래차 서비스 시대 준비 등이 골자다.문재인 대통령은 “미래차 시대에 우리는 동등한 출발점에 설 수 있게 됐기 때문에 더이상 추격자가 되지 않아도 된다”며 &ldqu2019-10-15 16:33:47권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