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시그마체인 “메인넷 기술표준 ‘파스타’ ERC-20보다 빠르고 개발 편리”
2019-10-15김태환 기자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이 자사 메인넷 기술표준인 파스타(PASTA)가 이더리움의 ERC-20보다 훨씬 빠르고 개발이 편리하다고 주장했다.
시그마체인은 15일 자체 개발한 메인넷 ‘퓨처피아(Futurepia)’의 기술표준인 파스타를 활용해 ‘엘픽스’와 베트남 전용 ‘스낵(SNAC)’ 등 2가지 신규 디앱(DAapp)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밝혔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이번 새로 소개되는 디앱들은 퓨처피아의 기술표준인 PASTA를 통하여 개발했고, 블록체인 전문개발자가 아닌 일반 개발자들이 1-2개월만에 손쉽게 개발을 완성할 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파스타는 100여 개 이상의 맞춤형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하고 있어 1~2개월 만에 빠르고 간편하게 디앱 개발을 할 수 있다.
곽 대표는 “이더리움의 ERC-20은 ‘솔리디티’라는 언어를 추가로 학습하고, EVM이라는 가상머신에서 컴파일을 하여 디버킹을 거친다. 개발과정에 진입장벽이 높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 “반면 파스타의 경우에는 윈도우환경에서 모든 개발언어를 지원하고, 별도의 컴파일 없이 함수형태로 제공돼, 블록체인을 모르는 일반개발자도 손쉽고 빠르게 디앱을 개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방준혁의 코웨이 인수 '묘수'…게임산업에는 '악수'[앵커멘트]넷마블의 웅진코웨이 인수가 가시권에 들어오며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넷마블과 방준혁 의장 입장에선 묘수가 됐는데 게임업종 전반에는 적신호로 받아들여지는 양상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넷마블은 해를 거듭할수록 게임 출시 건수를 줄여왔습니다. 외부 게임 배급은 중단하다시피 했습니다. 성숙기를 맞은 내수 시장에서 성공 확률이 점차 낮아지기 때문이었습니다.카카오와 넥슨, 엔씨의 주력게임들이 맞붙는 4분기 MMORPG 대전에서도 넷마블은 언더독으로 꼽혔습니다. '세븐나이츠22019-10-16 08:50:47서정근 기자
-
IT공룡, 데이터센터 가동 본격화…클라우드 격전지 된 韓[앵커멘트]구글, 오라클 등 글로벌 IT 공룡들이 국내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짓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동 준비에 들어갑니다. 국내 기업들 역시 데이터센터 확장에 나서며 외산 클라우드 공세에 맞서며 디지털 전환 작업에 분주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지난 5월 국내 처음으로 서울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가동에 들어간 오라클.내년 상반기 안에는 춘천에 두번째 데이터센터를 짓고 한국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탐 송 / 한국오라클 사장 :한국은 굉장히 큰 시장이고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하고 있습니2019-10-16 08:47:24박수연 기자
-
하늘에는 플라잉카·땅에는 자율주행차…미래차 세계 최고로 도약2025년 플라잉카,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 2030년 수소, 전기차 판매 비중 30%.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로드맵이 나왔다.정부는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래차 산업 신속 전환을 위한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친환경차 세계 시장 선도,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미래차 서비스 시대 준비 등이 골자다.문재인 대통령은 “미래차 시대에 우리는 동등한 출발점에 설 수 있게 됐기 때문에 더이상 추격자가 되지 않아도 된다”며 &ldqu2019-10-15 16:33:47권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