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중국 보조금 줄어든 글로벌 배터리 시장... SK·삼성·LG 진가 발휘
[앵커멘트]
중국 정부가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하면서 중국의 관련 업체들은 타격이 불가피해졌는데요, 이 때문에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는 진검승부가 시작됐습니다. 특히 기술력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한국 배터리 업체들에게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문수련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LG화학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입니다.
작은 배터리 셀 12개를 모아 모듈을 만들고, 모듈을 모아 ‘팩’을 구성해 전기자동차에 탑재합니다.
배터리가 전면이나 후면이 아닌 바닥에 얇게 깔려 차의 공간효율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유원재 LG화학 홍보팀 선임 : LG화학의 소재 기술력으로 최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배터리 셀을 개발했으며, 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는 1회 충전 시 470km 주행이 가능합니다.]
삼성SDI도 레인지로버 스포츠 p400e에 탑재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전시했습니다.
삼성SDI는 같은 크기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8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 동기보다 10%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LG화학은 사용량이 80% 늘어 순위가 4위에서 3위로 한 계단 올랐고, 삼성SDI도 10% 늘어 5위와의 격차를 0.1%포인트 차이로 좁혔습니다.
지난해 순위권 밖이었던 SK이노베이션도 작년 동기보다 8.1% 성장하면서 한국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18.8%로 전년 보다 7.4%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한국 업체들이 도약하는 사이 경쟁사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수년간 1위 자리를 지켰던 파나소닉은 사용량이 22.5%나 줄어 중국 CATL에게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지난해 3위를 차지했던 중국 배터리, 전기차 업체 BYD는 사용량이 61% 줄어 LG화학에게 3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면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준비된 한국 업체들의 도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문수련입니다.
문수련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챗봇·얼굴 인식 기술 사례 공유…네이버, '클로바 AI 비즈니스 데이' 성료네이버는 지난 18일 '클로바 AI 비즈니스 데이'(Clova AI Business Day)를 개최하고, 기업 고객들을 위한 클로바의 AI 기술과 실제 비즈니스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행사 현장에서는 클로바 비즈니스를 이끌고 있는 네이버 정석근 리더가 클로바 AI 기술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발표했다. 또 실제 비즈니스에 접목되고 있는 챗봇, OCR, 얼굴 인식, Clova AI for Contact Center 기술의 사례가 소개됐다.클로바는 챗봇, 음성 인식, 음성 합성, OCR, 이미지 검색, 얼굴 인식2019-10-21 09:08:04박수연 기자
-
엔씨 '리니지2M' 마케팅 융단폭격...경쟁사 고강도 압박[앵커멘트]엔씨소프트가 리니지2M의 출시를 앞두고 마케팅 융단폭격을 퍼부으며 경쟁사들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제작비보다 초기 마케팅 비용이 더 큰 게임이 될 것이라는 관측인데, 관련한 배경을 서정근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엔씨소프트가 11월 중 출시할 리니지2M. 2017년 3분기부터 개발을 본격화, 2년여만에 완성을 앞뒀습니다. 150여명의 엘리트 개발자들이 투입됐는데, 누적 개발비는 4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추산됩니다.엔씨는 이 게임의 출시 시점까지 사전마케팅 비용으로 450억원 가량을 책정한 것으로2019-10-21 09:05:24서정근 기자
-
[MTN단독]크래프톤, '카이저' 채기병 프로듀서 영입...개발진용 강화크래프톤이 채기병 프로듀서를 영입, 개발 진용 강화에 나섰다. 엔씨소프트, 패스파인더에이트를 거치며 쌓은 역량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틀그라운드' 이후 크래프톤의 성장 동력 발굴에 기여할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1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패스파인더에이트를 떠난 채기병 프로듀서가 크래프톤에 합류했다. 크래프톤 산하 특정 스튜디오에 소속되지 않고, 회사 전반의 개발에 자문하는 역할을 맡았다. 추후 크래프톤의 개발 라인업 구성 여하에 따라 이 회사의 차기작 중 하나를 맡을 가능성도 점쳐진다.크래프톤 관2019-10-21 09:00:07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