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대충 둬도 충전되는 무선충전 기술 개발…국내연구진, IoT 시대 앞당겨
UNIST 변영재 교수팀, 평평한 페라이트로 자기장 전달, 전송효율 향상
책상이나 바닥 등 평평한 곳에 대충 둬도 무선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UNIST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변영재 교수팀이 여러 전자기기를 자유롭고 넓은 면적에서 충전할 수 있는 ‘대면적 자율배치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무선충전은 전류가 자기장을 일으키고, 거꾸로 자기장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전원장치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전자기기가 받아 다시 전류로 바꾼다. 이때 자기장이 세면 전류도 세져, 전원장치와 전자기기가 멀어도 충전된다.
기존 무선충전 기술은 자기장을 보내는 매질로 공기를 이용한다. 전선이 사라져 편리하다. 하지만 전자기기와 무선충전기 배치가 고정되고, 배치가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충전효율이 크게 떨어지거나 충전이 중단된다.
변영재 교수팀은 이런 단점을 해결하고자 매질을 바꿨다. ‘페라이트’를 사용해 충전기기에 전달되는 자기장 세기를 높인 것이다. 자기장이 공기로 전달될 때는 자기저항이 커서 전력손실이 크다. 하지만 페라이트 자기저항은 공기보다 1000배 작아 전송효율이 높다. 페라이트는 산화철 자성체 세라믹이다.
또 전원장치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감는 방식도 바꿔 전류전송 효율을 높였다. 판형 구조의 페라이트에 코일을 위아래로 감으면, 판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의 전류 방향 반대가 돼 자기장이 상쇄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코일을 비스듬히 감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이 장치의 유효성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확인됐다. 또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자기장과 전기장 노출 역시 국제기준에 부합했다.
변영재 교수는 “넓은 면적에서 자유롭게 배치할 수 이는 무선충전 원천기술을 확보했다”며 “앞으로 책상과 탁자, 벽, 바닥 등에 적용해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견인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10월 4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2020 공개다쏘시스템이 3D 설계 엔지니어링 애플리케이션 솔리드웍스의 최신 버전 ‘솔리드웍스 2020’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솔리드웍스 2020은 솔리드웍스 사용자 커뮤니티의 수천 가지 피드백을 반영한 결과물이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과 완벽하게 통합돼 새로운 차원의 협업을 모색하고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동향과 비즈니스 요구에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새 버전에서는 우선 도면화 모드와 그래픽 가속을 지원하는 설계가 도입된다. 새로운 도면화 모드를 사용해 대용량의 도면을 빠르게 열고 도면에2019-10-23 15:52:16김태환 기자
-
AWS, 롯데마트에 AI 기반 맞춤형 상품추천 서비스 제공아마존웹서비스(AWS)가 롯데마트의 고객 쇼핑 경험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1:1 상품추천 서비스인 아마존 퍼스널라이즈(Amazon Personalize)를 제공했다고 23일 밝혔다.아마존 퍼스널라이즈는 아마존닷컴에서 사용된 동일한 머신러닝 기술을 AWS 고객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롯데마트는 아마존 퍼스널라이즈를 도입해 자체 모바일앱인 ‘M쿠폰’을 통해 매장 이용고객 대상으로 고차원의 맞춤형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머신러닝을 통해 얻은 고객 선호도를 바탕으2019-10-23 14:52:45김태환 기자
-
기존 도시철도를 급행으로 바꿔주는 새 방법 등장현재 시스템과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도시철도를 급행화할 수 있는 도시·광역철도 급행화 방법이 제시됐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은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도 급행화 연구 추진성과 확산 및 공유 세미나’를 개최하고, 철도운영과 건설 분야 급행화 방안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했다.도시·광역철도의 운행속도를 높이려면 서울 지하철 9호선처럼 급행과 일반철도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대피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철도에서 새롭게 대피선을 건설하려면 추가 비용과 도시철도 운영2019-10-23 11:43:45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