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한국인 일주일에 온라인 영상 6시간 23분 시청, TV시청은 대폭 감소
라임라이트 네트웍스 ‘2019 온라인 비디오 사용 현황’ 연례 보고서 발표
한국 콘텐츠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1주일에 비디오(영상) 콘텐츠를 6시간 23분 시청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6시간 17분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가장 많이 시청한 콘텐츠는 TV 프로그램이었다. 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지만 케이블이나 위성TV를 이용하는 비율도 세계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콘텐츠 전송 기업 라임라이트 네트웍스(Limelight Networks)는 24일 ‘2019 온라인 비디오 사용 현황(State of Online Video)’ 연례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들은 주당 평균 6시간 23분 온라인 비디오를 시청했다. 반면 TV방송 비디오는 주당 6시간 38분 시청해 지난해 7시간 50분보다 크게 줄었다.
한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시청하는 비디오 콘텐츠는 TV 프로그램이고, 뉴스와 영화가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미국과 인도 결과와 비슷했다. 다른 나라들은 영화를 가장 선호했다.
아울러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청 장치는 스마트폰이었다. 그리고 가장 인기있는 스트리밍 장치로 스마트 TV를 꼽았다.
또 한국 소비자들은 평균 1개(1.08) 이상의 온라인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등)를 구독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평균(1.2개)보다 적은 수치다. 반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소비자가 34%로, 세계 평균인 41%보다 낮았다. 이는 한국 소비자들이 여러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 1개 서비스를 집중해서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비디오를 시청하는 한국 소비자 77%가 케이블 또는 위성TV 서비스를 구독하고 있었다. 이는 다른 모든 국가 평균인 60%보다 높은 수치다.
한국 시청자는 온라인 비디오 시청 시에 가장 불만사항으로 비디오 버퍼링(36%)과 저화질(27%)을 꼽았다.
특히 세계 시청자들은 평균 2.2회 버퍼링이 발생하면 비디오 시청을 포기했다. 하지만 한국은 1.9회로 버퍼링을 더 참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스트리밍 비디오 시청이 주당 6시간 48분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온라인 비디오 시청 시에 몰아보기(빈지-워칭, 방송 프로그램이나 드라마·영화 등을 한꺼번에 몰아 보는 것, binge-watching) 비율이 82%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수소전기차 핵심소재 연료전지, 고성능 분리막으로 국산화 앞당겨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고성능 분리막으로 수소전기차 핵심소재인 연료전지 국산화를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헨켄스마이어 디억 박사팀이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HT-PEMFC)의 핵심소재인 전해질막 성능을 크게 높였다고 25일 밝혔다.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이온전도성 고분자막을 이온전달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다.연료전지는 100℃ 이하 온도에서 작동되는 저온형과 160~180℃ 온도에서 작동되는 고온형으로 나뉜다. 이중 고온형 연료전지는 작동 시2019-10-25 15:04:54박응서 기자
-
[블록체인리포트] 디파이 시장 1인자 메이커다오 - 남두완 한국 CEO메이커다오는 탈중앙화금융인 디파이 시장에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스테이블코인과 달리 메이커다오는 스마트계약에 이더리움 같은 암호 자산을 담보로 잡고 발행합니다.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부분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이더리움으로 담보 내역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투명성이 높다고 말합니다. 어떻게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는데 더 리스크가 적을 수 있는지, 남두완 메이커다오 한국 대표를 만나 들어봤습니다.[대담=선소미 블록체인 전문 앵커]‘메이커다오(MakerDAO2019-10-25 14:37:47선소미 블록체인 전문 앵커
-
GM떠난 군산에 중견·벤처기업 힘 모아 전기차 메카 만든다[앵커멘트]중견 자동차 기업들과 부품회사들이 GM이 떠난 군산공장에 국내 최대 전기차 단지를 만듭니다. 군산 전기차 단지에는 2022년까지 4122억원을 투자돼 1900여개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군산은 전기차 메카로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지난해 GM이 군산공장이 폐쇄되자, 당시 군산에서는 2천여명이 일자리를 잃었습니다.협력업체와 요식업 등 연관 서비스업까지 범위를 넓히면 군산 시민의 1/4이 생계를 위협받은 것2019-10-25 09:00:05염현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