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정부, "WTO 개도국 지위 포기…농업 피해 최소화할 것"
1995년 WTO 가입 이후 24년만에 개도국 지위 포기
[앵커멘트]
우리 정부가 24년만에 세계무역기구(WTO) 개발도상국 지위를 포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농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재정' 지원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염현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늘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외경제장관회를 열고 "미래 세계무역기구 협상에서 개발도상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1995년 WTO 가입할 때 개도국을 선언하고 1996년 OECD 가입하면서 농업과 기후변화에서만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이후, 24년 만에 개도국 지위를 온전히 포기한 겁니다.
정부가 개도국 지위를 포기한 이유는 △대외적 위상 △개도국 특혜 관련 대외동향 △우리에 미칠 영향 등 크게 3가지입니다.
개도국 포기를 강하게 주장한 미국측의 조건에 모두 부합하는 것은 물론, WTO 가입 이후 우리 경제가 선진국 반열에 오를 정도로 발전한 점도 감안됐습니다.
홍 부총리는 "최근 선진국은 물론 개도국들도 한국의 개도국 지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와 위상이 비슷하거나 낮은 싱가포르, 브라질 등도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농업 분야 개도국 혜택인 관세와 보조금 감축률, 이행 기간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다만 정부는 앞으로 WTO 농업협상이 개시되기 전까지 개도국 특혜가 유지되는 만큼 정부는 미래 협상에 대비해 국내 농업보호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가 제시한 농업대책으로 공익형 직불제의 조속한 도입과 청년영농정착지원금 제도 추진, 내년 농업예산 확보 등 입니다.
특히 '공익형 직불제'의 경우 WTO에서 규제하는 보조금에 해당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공익형 직불제로의 전환을 전제로 올해 1조 4천억원 규모이던 직불금 예산안을 내년엔 2조 2천억원으로 대폭 증액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미래의 WTO 농업협상에서 쌀 등 국내 농업의 민감분야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미래의 WTO 농업협상 결과 국내 농업에 영향이 발생할 경우 피해 보전대책을 반드시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농업계는 정부의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33개 단체는 "우리나라의 개도국 지위 포기는 통상주권과 식량주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염현석입니다.
염현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점프업 코리아] "2년치 물량 전부 달라" 해외주문 쇄도… 태양광 부품 경쟁력 인정받은 '신성이엔지'[앵커멘트]기술독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누비는 국내 강소기업들을 소개하는 '점프업코리아' 연속기획입니다.값싼 중국산 태양광 패널의 공세에 관련 기업들이 휘청이고 있지만 독자기술로 고효율 제품을 개발해 세계시장을 누비는 국내기업도 있습니다. 신성이엔지가 생산하는 태양광모듈과 전지의 우수성을 알아본 해외기업들이 2년치 물량을 입도선매할만큼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그 비결이 뭔지 문수련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네모난 판넬 위를 로봇 팔이 쉴 새2019-10-29 09:23:17문수련 기자
-
SKT, 'ICT 기술 공유의 장' 테크 서밋 2019 열어SK그룹이 관계사가 보유한 ICT 역량을 결집해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협력사, 스타트업 등 외부 파트너와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SK텔레콤은 SK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28~29일 이틀간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ICT 기술, 서비스를 공유하는 'SK ICT 테크 서밋 2019'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올해 4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SK그룹 임직원을 비롯해 스타트업, 대학 등 약 4,000명을 초청해 진행하며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이 빅데이터, 보안, 미디어 등 7개 영역서 주제를 발표2019-10-29 09:20:12이명재 기자
-
네이버, 아시아-유럽 관통하는 '일대일로' AI 연구벨트 만든다네이버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글로벌 AI 연구(R&D) 벨트를 만든다. 네이버의 본진인 한국과 일본, 확장 거점인 프랑스와 베트남 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일대일로'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 미·중 기술 패권에 맞선다는 구상이다.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8일 열린 DEVIEW 2019 키노트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네이버의 핵심 AI 연구소가 위치한 프랑스, 세계 10위 안에 드는 개발자 규모를 갖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네이버 중심의 기술 연구 네트2019-10-29 09:17:34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