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진영 싸움으로 번진 포털…'실검 폐지' 논의 급물살 탈까
오늘 오후 KISO 주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현황 및 대안 토론 열려
[앵커멘트]
올해 국정감사에 쏠린 눈은 단연 조국 전 장관 논란으로 촉발된 실시간 검색어'입니다. 특정 키워드가 실검창을 도배하면서 인터넷 커뮤니티가 여론의 장이 아닌 진영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업계가 모여 직접 대안을 찾습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조작이 있었냐는 야당의 공세에 대해 카카오와 네이버는 매크로와 같은 불법 프로그램의 사용 흔적은 없었다고 일축했습니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는 "기계적 개입에 의한 비정상적 이용 패턴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고,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실명 인증자가 네이버에 로그인해 검색한 데이터 값만 실검에 보여주므로 조작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원칙적으로 검색어를 제외하거나 삭제하지 않는다'라는 방침 아래 포털이 자체적으로 실검 장악에 대해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선거 기간만이라도 실검을 폐지하라는 야당의 요구가 거세지자 네이버와 카카오 측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선거관리위원회와 관련 사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상황.
현재 포털 실검 폐지가 자유로운 의견 개진을 막는 과도한 규제라는 시각과 여론 조작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섭니다.
정치적 키워드뿐 아니라 특정 상품을 광고하는 검색어가 실검 순위창을 도배하는 것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과도한 마케팅으로 검색어 기능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나오자 업체들은 검색 이벤트를 제한하기도 했습니다.
오늘(25일) 오후 KISO 주최로 열리는 토론회에서는 이같은 논의가 활발히 이뤄질 예정입니다.
이인호 KISO 정책위원장을 좌장으로 학계와 미디어 연대, 네이버와 카카오 관계자들이 참석해 실급검 순위 올리기의 현황을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합니다.
KISO는 법적 강제성이 없는 기구지만 충분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다면 포털 사업자가 직접 나서서 실검 폐지를 비롯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점프업 코리아] "2년치 물량 전부 달라" 해외주문 쇄도… 태양광 부품 경쟁력 인정받은 '신성이엔지'[앵커멘트]기술독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누비는 국내 강소기업들을 소개하는 '점프업코리아' 연속기획입니다.값싼 중국산 태양광 패널의 공세에 관련 기업들이 휘청이고 있지만 독자기술로 고효율 제품을 개발해 세계시장을 누비는 국내기업도 있습니다. 신성이엔지가 생산하는 태양광모듈과 전지의 우수성을 알아본 해외기업들이 2년치 물량을 입도선매할만큼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그 비결이 뭔지 문수련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네모난 판넬 위를 로봇 팔이 쉴 새2019-10-29 09:23:17문수련 기자
-
SKT, 'ICT 기술 공유의 장' 테크 서밋 2019 열어SK그룹이 관계사가 보유한 ICT 역량을 결집해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협력사, 스타트업 등 외부 파트너와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SK텔레콤은 SK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28~29일 이틀간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ICT 기술, 서비스를 공유하는 'SK ICT 테크 서밋 2019'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올해 4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SK그룹 임직원을 비롯해 스타트업, 대학 등 약 4,000명을 초청해 진행하며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이 빅데이터, 보안, 미디어 등 7개 영역서 주제를 발표2019-10-29 09:20:12이명재 기자
-
네이버, 아시아-유럽 관통하는 '일대일로' AI 연구벨트 만든다네이버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글로벌 AI 연구(R&D) 벨트를 만든다. 네이버의 본진인 한국과 일본, 확장 거점인 프랑스와 베트남 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일대일로'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 미·중 기술 패권에 맞선다는 구상이다.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8일 열린 DEVIEW 2019 키노트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네이버의 핵심 AI 연구소가 위치한 프랑스, 세계 10위 안에 드는 개발자 규모를 갖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네이버 중심의 기술 연구 네트2019-10-29 09:17:34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