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원료로 바꾸는 기술 개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를 가치 높은 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기술을 국내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황윤정 박사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형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온실가스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전환해 에틸렌과 에탄올 같이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로 바꾸는 새 전기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같은 물질을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로 직접 바꾸는 전환기술은 경제 가치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줄여, 기후 변화 대응 핵심기술로도 발전할 수 있다.
이미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나 포름산만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고성능 촉매 소재가 개발됐다. 하지만 에틸렌과 에탄올 같이 복합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다탄소화합물을 만드는 기술은 선택도가 40~70% 수준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KIST 연구진은 구리 촉매 소재에 ‘세리아’라는 금속산화물을 도입해 다탄소 화합물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촉매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촉매는 65%로 높은 생성전류 선택도를 보였다.
또 KIST 연구진은 계산화학 모델링으로 계면에서 촉매 다양성 반응 원인도 규명했다. 특히 구리와 세리아 계면을 조절해 이산화탄소 전환 생성물 비율을 조절할 수 있었다.
KIST 황윤정 박사는 “이산화탄소 전환 생성물의 다양성을 높이는 촉매 소재 연구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촉매 반응 이해와 촉매 소재 개발 전략이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최고 수준 과학전문지인 ‘ACS에너지레터’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엔비디아, 반려동물 표정 구현하는 최신 AI 기술 발표인공지능(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동물 사진을 보고 표정이나 포즈를 다른 동물에 똑같이 구현하는 ‘GANimal’ 애플리케이션 관련 논문을 30일 발표했다.GANimal은 생성적 적대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이하 GAN)이라는 새로운 AI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GAN은 두 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심층 뉴럴 네트워크 구조로 한 네트워크가 다른 네트워크와 서로 대립해 경쟁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기술이다.새롭게 개발된 GANimal2019-10-30 10:11:28김태환 기자
-
크라우드웍스, ‘Japan IT Week2019’ 참가로 일본 진출 본격화AI 학습데이터 수집/가공 기업인 크라우드웍스가 일본의 대표 IT컨퍼런스인 'Japan IT Week'와 ‘INNOVATION LEADERS SUMMIT 2019’에 연이어 참가하며, 아시아 AI 학습데이터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Japan IT Week는 일본 최대 규모 IT 전시회로, 10월 23일부터 2박 3일간 도쿄에서 열렸다. 780여 기업과 5만 5000여 명이 참석했다. 오는 31일까지 진행 중인 2박 3일간 진행 중인 ‘INNOVATION LEADERS SUMMIT2019-10-30 09:51:00김태환 기자
-
SK텔레콤, 최대 5% 금리 주는 ‘KDB x T high5 적금’ 출시SK텔레콤이 KDB산업은행, 핀크와 손잡고, SKT 고객에게 최대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KDB x T high5 적금’을 30일 출시했다.KDB x T high5 적금은 만 17세 이상,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SK텔레콤 이용 고객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가입 희망 고객은 스마트폰에 핀크 앱을 다운받은 후 ‘KDB x T high5 적금’ 상품을 선택하면 가입할 수 있다.해당 적금 금리는 기본 2%에 SK텔레콤 고객 우대금리를 2% 제공한다. 최근 시중은행 적금 상품2019-10-30 09:35:12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