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단백질 차단막 바이오센서로 현장 질병 진단
환자 스스로 질병 진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활용 기대
스마트기기와 결합해 현장에서 바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단 이관희‧정영도 박사팀, 고려대 강석호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단백질 차단막을 적용한 바이오센서를 제작, 혈청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바이오센서를 이용하면 혈청에서 바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다.
혈액에서 분리해낸 혈청은 많은 생체정보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 진단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혈청을 샘플로 하는 전자기기 기반의 바이오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혈청을 이용하면 검출 신호 오류가 빈번하고 측정 민감도가 낮아 어려움이 크다. 현재 의료기관에서는 전문 인력이 혈청 전처리나 후처리를 한 뒤에 진단기기를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IST 연구진은 혈청에서 전·후처리 없이 직접 질병인자를 검출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단백질 차단막을 개발해, 바이오센서에 적용했다.
연구진은 단백질 차단막이 정전기 특성을 띠는 걸 활용해 혈청 단백질의 비특이적 결합과 불필요한 전하 축적을 막았다. 그 결과 단백질 차단막을 적용한 바이오센서로 전립선암 질병인자를 혈청에서 직접 검출하는데 성공했다.
KIST 정영도 박사는 “기존 바이오센서가 휴대용 기기와 결합해 현장 진단 또는 자가진단 센서로 발전할 것”이라며, “앞으로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가 개발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바이오 저널인 ‘바이오센서와 바이오전기’ 최신호에 게재됐다.
-
[테크엠기획] 토종 드론, 고급기술 활용 ‘맞춤형 전략’으로 틈새시장 공략중국이 장악한 드론 시장에 대응해 한국 기업들은 농업과 교육, 재난현장 같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맞춤형 드론을 만들며 틈새를 공략하고 있다.중국 업체가 저가로 밀어붙여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국내 업체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 맞는 고급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어고부가가치 드론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한국 드론 업체 대부분이 특정 상황에 맞는 고급드론을 만드는 만큼,드론이 더빠르고 멀리 날릴 수 있도록 할당 주파수 대역을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가성비로 밀어붙인 중국…세2019-11-01 15:40:18김태환 기자
-
단백질 차단막 바이오센서로 현장 질병 진단스마트기기와 결합해 현장에서 바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단 이관희‧정영도 박사팀, 고려대 강석호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단백질 차단막을 적용한 바이오센서를 제작, 혈청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바이오센서를 이용하면 혈청에서 바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다.혈액에서 분리해낸 혈청은 많은 생체정보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 진단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혈청을 샘플로 하는 전자기2019-11-01 10:49:35박응서 기자
-
해조류·모래 등 바다의 모든 걸 치료제로…미래먹거리 해양치유산업 '잰걸음'[앵커멘트]바닷물, 바닷바람, 모래, 해조류처럼 바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이용해서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해양치유'라고 하는데요, 아직은 생소하지만 해양치유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인프라 조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독일에선 해양치유산업으로 이미 연간 45조원의 시장을 만들고 있어 이미 검증된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이재경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해변의 모래사장을 폴을 쥐고 성큼성큼 걸어갑니다.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들의 하계 훈련에서 따온 &2019-11-01 09:13:44이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