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2020년 세계 웨어러블 기기 구매 62조 전망”
가트너 전망 “스마트워치와 스마트 의류 선호 예상”
2020년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소비자 구매(지출)가 62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또 소비자가 스마트워치와 스마트 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됐다.
31일 IT 자문기관 가트너는 2020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소비자 지출 전망을 발표했다.
가트너는 2020년 소비자들이 웨어러블 기기에 총 520억 달러(약 62조 원)를 사용하며, 2019년보다 27% 더 사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9년 전 세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사용자 지출액은 410억 달러(약 49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또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와 스마트 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두 디바이스 부문 지출은 2020년에 각각 34%, 5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란짓 아트왈 가트너 책임 연구원은 “스마트워치 부문으로 유입되는 많은 사용자들이 손목밴드를 스마트워치로 교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브랜드 선두주자인 애플워치와 삼성 갤럭시 워치가 프리미엄 가격 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반면, 샤오미, 화웨이 등의 저가 업체들은 더 저렴한 가격의 스마트워치로 고가 제품들과 균형을 맞출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0년에 스마트워치 8600만 대와 이어웨어 7000만 대의 디바이스가 출하되면서, 출하량에서는 스마트워치와 이어웨어 기기가 선두에 설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이어웨어 시장은 애플(에어팟), 삼성(갤럭시 버즈), 샤오미(에어닷), 보스(사운드 스포츠)와 더불어 아마존까지 진입해 경쟁이 치열하다. 뉴히어라(Nuheara),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스타키(Starkey) 등 기타 경쟁 업체들은 향상된 음질을 제공하고, 의사 처방 없이도 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선보이며 매력적인 제품을 내놓고 있다.
가트너는 디바이스 업체들이 더 작고 더 스마트한 센서에 집중할 것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된 센서가 점점 더 정확한 판독 능력을 갖춰 더 많은 사용 사례를 선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형화는 스마트 의류에도 큰 이점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소형화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디바이스 업체들은 사용자 눈에 거의 띄지 않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수면과 건강 추적 센서를 통합시킬 수 있다.
알란 안틴 가트너의 선임 디렉터는 “초소형 웨어러블 기기들은 특히 웨어러블에 거부감이 있는 사용자 수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트너는 소형화 기능 발전으로 2023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개 중 1개는 사용자 눈에 잘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을 것으로 전망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가트너의 ‘전망: 전세계 웨어러블 디바이스, 2019년’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테크엠기획] 토종 드론, 고급기술 활용 ‘맞춤형 전략’으로 틈새시장 공략중국이 장악한 드론 시장에 대응해 한국 기업들은 농업과 교육, 재난현장 같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맞춤형 드론을 만들며 틈새를 공략하고 있다.중국 업체가 저가로 밀어붙여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국내 업체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 맞는 고급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어고부가가치 드론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한국 드론 업체 대부분이 특정 상황에 맞는 고급드론을 만드는 만큼,드론이 더빠르고 멀리 날릴 수 있도록 할당 주파수 대역을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가성비로 밀어붙인 중국…세2019-11-01 15:40:18김태환 기자
-
단백질 차단막 바이오센서로 현장 질병 진단스마트기기와 결합해 현장에서 바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단 이관희‧정영도 박사팀, 고려대 강석호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단백질 차단막을 적용한 바이오센서를 제작, 혈청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바이오센서를 이용하면 혈청에서 바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다.혈액에서 분리해낸 혈청은 많은 생체정보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 진단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혈청을 샘플로 하는 전자기2019-11-01 10:49:35박응서 기자
-
해조류·모래 등 바다의 모든 걸 치료제로…미래먹거리 해양치유산업 '잰걸음'[앵커멘트]바닷물, 바닷바람, 모래, 해조류처럼 바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이용해서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해양치유'라고 하는데요, 아직은 생소하지만 해양치유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인프라 조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독일에선 해양치유산업으로 이미 연간 45조원의 시장을 만들고 있어 이미 검증된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이재경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해변의 모래사장을 폴을 쥐고 성큼성큼 걸어갑니다.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들의 하계 훈련에서 따온 &2019-11-01 09:13:44이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