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미래차를 열다④] 주유도 자동 결제·차량 관리도 한번에…진화하는 모빌리티 생태계
GM-구글 협업, 새로운 협력 생태계 만드는 글로벌 자동차 회사
[앵커멘트]
현재 자동차 산업은 지난 100년간 지배해온 '게임의 룰'이 바뀌는, 말 그대로 격변의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은 이번 기획의 마지막 순서로 제조사 중심의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다양한 서비스들과 합쳐지면서 진화해가는 모습을 담아봤습니다.
자동차와 IT, 통신 기술이 결합되면서 산업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도 신규 파트너들과 함께 새롭게 구성되고 있는데요. 현대차도 국내 스타트업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스마트폰 앱에 들어가자 가까운 주유소의 가격 정보가 표시됩니다.
주유소를 선택해 미리 결제하고 주유소에 도착하자, 주유 기계가 차량을 인식해 결제 없이 주유를 할 수 있습니다.
국내 스타트업 '오윈(OWIN)'이 개발한 자동 결제 주유 시스템인데, 현대차의 위치인식 데이터가 합쳐져 도착 정보가 정확해졌고 앞으로는 차에서도 직접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신성철 오윈 대표 :
미래 시대에서는 자동차가 결제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라는 결제수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만들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 하나로 차량 관리를 위한 모든 정보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마카롱팩토리가 만든 차계부 서비스는 현대차의 데이터를 받아 그동안 일일이 입력했던 차량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해줍니다.
차량 관리 시기가 다가오면 주변 정비 센터와 부품 가격 정보도 안내합니다.
[김기풍 마카롱팩토리 대표 :
자동차에 관리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려면 시간과 주행거리가 필요합니다. 시간의 경우는 정확하게 예측해왔지만 주행거리의 경우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데이터와 연동되면서 차량의 컨디션을 정확하게 받아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가지고 정확한 정비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협력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GM은 구글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아우디는 홀로라이드라는 스타트업 회사를 설립해 다른 자동차 회사와 기술 협업을 시작했습니다.
현대차도 수백 만대의 커넥티드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국내 스타트업에 개방했습니다.
[김준명 현대차 책임매니저 :
미래 모빌리티 시대는 다양한 산업 분야가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대차는 데이터를 외부에 개방해 수평적인 협업 체계를 만들고 이를 통해 고객분들께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갈 계획입니다.]
산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가 생겨나는 모빌리티 생태계의 변화가 이미 시작됐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승교입니다.
김승교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산업硏, 내년 반도체 수출 회복세 전망…"올해 2월 이미 바닥 지나"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내년 회복세에 진입할 전망입니다.산업연구원은 '반도체 수출 회복세 진입 예상 보고서'에서 "글로벌 수요 위축과 단가 하락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며 "반도체 수출은 올해 2월 최저점을 통과해 내년에는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올해 9월까지 반도체 누적 수출액은 714억달러로 지난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호황기가 시작된 2017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산업연구원은 내년에는 본격적인 5G 통신 도입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42019-11-05 09:05:18고장석 기자
-
글로벌 인재 영입 속도내는 쿠팡..."美 나스닥 상장 전망"[앵커멘트]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몸집을 키워온 쿠팡이 이번엔 다른 행보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재무, 법률 부문의 글로벌 인재를 잇따라 영입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유지승 기자가 짚어봤습니다.[기사내용]지난 2010년 설립돼 올해로 9년차를 맞은 쿠팡.유통 대기업 롯데 신동빈 회장도 '쿠팡처럼'이라는 말로 내부 혁신을 독려할 만큼, 업계에 새로운 획을 그었습니다.빠른 배송 '로켓배송'을 주축으로, 몸집을 키워온 쿠팡은 이제 연매출 4조원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했습2019-11-05 09:01:32유지승 기자
-
"제로페이 가맹점 100만개로 확대"…'관치페이' 오명 벗는다[앵커멘트]소상공인의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정부가 직접 '제로페이'를 만들었죠. 그런데 정작 효용성이 떨어진다며 '관치페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왔는데요, 앞으로는 이 제로페이가 '민간'으로 이양돼 인프라를 대폭 키워나갈 예정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QR코드 기반의 오프라인 직불 결제 시스템인 '제로페이'. 정부가 야심차게 시작한 핀테크 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앞으로는 금융권과 전자금융사업자, IT 기업 등을 중심으로 한2019-11-05 08:57:17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