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SKT-카카오 동맹에 탄력받는 '웨이브'…"콘텐츠 시너지 강화"
카카오 배우·제작 역량과 웨이브, 콘텐츠 제작 협업 전망도
최근 3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맞교환한 SK텔레콤과 카카오의 시너지에 관심이 주목되는 가운데 무엇보다 '콘텐츠'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SKT가 최대주주로 있는 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 '웨이브(WAVVE)'에 카카오가 보유한 막대한 IP(지식재산권)와 배우·제작 역량이 합쳐져 콘텐츠 분야에서 압도적 지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지난 9월 공식 출범한 웨이브는 현재 실사용자 기준으로 국내 1위다. 월간 사용자는 264만171명으로 넷플릭스(217만2982명)보다 45만명 이상 앞선 수치다. 웨이브의 유료 가입자는 10월 말 기준 140만명을 돌파했다.
이번 동맹을 계기로 향후 SKT 유무선 가입자 기반과 카카오 콘텐츠가 합쳐지며 '웨이브'에 더욱 힘이 실릴 것이라는 평가다. 웨이브 플랫폼에 카카오가 보유한 콘텐츠를 접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윤풍영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CFO)은 지난 31일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1년에 4~5편의 드라마를 오리지널로 공급해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카카오가 보유한 IP 자산을 SK텔레콤의 유료 플랫폼과 연계해 상호간 시너지를 증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카카오는 활발한 M&A와 수직계열화로 '콘텐츠 왕국'을 넘보고 있다. 국내 최대 웹툰·웹소설 콘텐츠 플랫폼 '카카오페이지'와 다수의 매니지먼트와 콘텐츠 제작사 '카카오M'을 보유하고 있다. 이 두 회사는 드라마와 영화 제작 등 2차 생산에 활발하다.
누적 6만6000여개의 웹툰·웹소설을 확보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지는 카카오 계열사 가운데 성장세가 가장 가파른 곳 중 하나다. 자체 제작사 '메가몬스터'를 보유한 카카오M은 공효진, 현빈, 공유, 이병헌 등이 소속된 기획사를 보유하고 있고 최근 영화사까지 인수하며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드라마와 영화의 트렌드는 웹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는 풍부한 IP를 보유하고 있다"며 "SKT는 가입자 기반과 함께 향후 5년간 3000억원의 콘텐츠 투자 계획까지 가지고 있어 경쟁력 있는 조합"이라고 평가했다.
단순히 콘텐츠를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카카오와 콘텐츠웨이브가 손잡고 드라마나 영화를 만드는 것도 가능해진다.
카카오는 지식재산권(IP)뿐 아니라 자체 제작사, 톱스타 풀(Pool)을 통해 2차 생산이 가능한 역량을 갖추고 있고 콘텐츠 웨이브 역시 전용 콘텐츠 제작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양사간 협업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무엇보다 막대한 자본을 업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쏟아내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공룡의 공세를 막아내기 위해 토종 업체끼리 손을 잡는 구조가 효율적인 대응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웨이브는 '규모의 경제'를 조기에 확보해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2023년까지 50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유치해 연 매출 5000억원 규모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현재 2000억원 규모의 외부 펀딩 계약을 체결했고 총 3000억원 규모 콘텐츠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반면 이같은 투자와 동맹에도 넷플릭스의 공세를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있다. 김용희 숭실대 교수는 "웨이브가 연간 3000억원을 투자해도 성공할 지 의문"이라며 "OTT시장에서 웨이브가 생존할 수 있으려면 압도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산업硏, 내년 반도체 수출 회복세 전망…"올해 2월 이미 바닥 지나"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내년 회복세에 진입할 전망입니다.산업연구원은 '반도체 수출 회복세 진입 예상 보고서'에서 "글로벌 수요 위축과 단가 하락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며 "반도체 수출은 올해 2월 최저점을 통과해 내년에는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올해 9월까지 반도체 누적 수출액은 714억달러로 지난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호황기가 시작된 2017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산업연구원은 내년에는 본격적인 5G 통신 도입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42019-11-05 09:05:18고장석 기자
-
글로벌 인재 영입 속도내는 쿠팡..."美 나스닥 상장 전망"[앵커멘트]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몸집을 키워온 쿠팡이 이번엔 다른 행보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재무, 법률 부문의 글로벌 인재를 잇따라 영입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유지승 기자가 짚어봤습니다.[기사내용]지난 2010년 설립돼 올해로 9년차를 맞은 쿠팡.유통 대기업 롯데 신동빈 회장도 '쿠팡처럼'이라는 말로 내부 혁신을 독려할 만큼, 업계에 새로운 획을 그었습니다.빠른 배송 '로켓배송'을 주축으로, 몸집을 키워온 쿠팡은 이제 연매출 4조원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했습2019-11-05 09:01:32유지승 기자
-
"제로페이 가맹점 100만개로 확대"…'관치페이' 오명 벗는다[앵커멘트]소상공인의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정부가 직접 '제로페이'를 만들었죠. 그런데 정작 효용성이 떨어진다며 '관치페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왔는데요, 앞으로는 이 제로페이가 '민간'으로 이양돼 인프라를 대폭 키워나갈 예정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QR코드 기반의 오프라인 직불 결제 시스템인 '제로페이'. 정부가 야심차게 시작한 핀테크 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앞으로는 금융권과 전자금융사업자, IT 기업 등을 중심으로 한2019-11-05 08:57:17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