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타다 불법' 논란 일파만파…뒷짐진 정부에 고꾸라지는 '공유경제'
[앵커멘트]
검찰이 승합차 호출 서비스 '타다'를 불법으로 결론지은 가운데 국토부와 청와대까지 얽혀 책임 공방이 거셉니다. 벤처·스타트업계는 이번 후폭풍으로 자칫 국내 공유경제 시장을 위축시키는 것 아닐까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검찰이 타다를 기소하기 전에 정부에 보고를 했다는 내용과 관련해 검찰과 정부의 미묘한 신경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타다' 논쟁이 정쟁 갈등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검찰이 타다가 드라이버를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했다고 판단하면서 노동법 위반 여부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박재욱 VCNC 대표는 "현행법상 렌터카 사업자는 파견을 받거나 프리랜서만 알선할 수 있는데 이를 운송사업자로 판단 내리고 불법파견이라고 한다"며 "시대에 맞춰 제도를 새롭게 보완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전방위적으로 비난을 받으며 생존 자체가 불투명해진 타다에 대해 벤처·스타트업계는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정부와 정치권이 기존 전통사업과 기득권 세력의 눈치만 보면서 관련 법안을 미루면서 혁신 모델 기반의 공유경제 산업 경쟁력을 잃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현재 공유숙박, 공유모빌리티를 비롯해 핀테크, 원격의료 등 신사업은 규제에 가로막혀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
누적 투자액 상위 100대 기업의 사업모델을 고스란히 한국 시장에 적용할 경우 10곳 중은 7곳은 규제에 저촉돼 서비스가 불가능하거나 조건부만 가능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벤처·스타트업계는 "규제나 사회적 합의 지체로 싹을 틔워보기도 전에 서비스를 포기하는 사례들이 속출하고 있다"며 "신산업 글로벌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무엇보다 우선 허용하고 사후에 규제하는 방식인 '포괄적 네거티브 체체'로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입니다.
[최성진 /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
혁신 사업 영역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사업을 허용하고 그에 따르는 여러가지 사회적 비용이나 책임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업계는 빠르게 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부의 강한 추진력과 사회적 합의를 위한 유연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수연(tout@mtn.co.kr)입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넥슨 신규개발 '옥석가리기' 완료...'드래곤하운드' 등 5종 개발 중단넥슨이 지난 9월 중순부터 한 달여 간 진행한 신규 프로젝트 리뷰 결과 생존 프로젝트와 개발 종료 프로젝트를 각각 확정했다. 5종의 타이틀의 개발이 중단됐고, 이로 인해 전환배치 대상자가 된 개발자들은 100여명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넥슨은 해당 개발자 전원을 해고하지 않고 사내 전환배치 하는 방안을 확정했다.8일 넥슨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넥슨코리아는 ▲ 데브캣스튜디오의 '드래곤하운드' ▲ 왓스튜디오의 '메이플 오딧셋이', '듀랑고 넥스트', ▲ 원스튜디오의 초기 프로젝트 ▲2019-11-11 09:03:47서정근 기자
-
공정위, LG유플러스·SKB M&A 심사 2건 조건부 승인공정거래위원회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 SK브로드밴드-티브로드 합병 건과 관련해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렸다.공정위는 방송통신사업자들이 급변하는 기술, 환경 변화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당 기업결합을 승인하되 유료방송시장에서의 경쟁 제한 우려를 차단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시정조치를 부과한다고 10일 밝혔다.먼저 케이블TV의 수신료를 물가상승률을 초과해 인상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케이블TV의 전체 채널 수, 소비자가 선호하는 인기채널 수를 임의로 축소하지 못하도록 했다.또 8VSB 케이블TV2019-11-11 09:02:02이명재 기자
-
키스 크라크 美차관 “韓 이통사들, 화웨이 장비 쓰지마라”…사면초가 LG유플러스키스 크라크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이 미 대사관저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서 한국의 이동통신사들에게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 제품을 쓰지 말아 달라는 뜻을 전달했다.공교롭게도 화웨이 장비를 사용한 LG유플러스는 불참하게 되면서 미국 측이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7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키스 크라크 미 국무부 경제차관은 지난 6일 미 대사관저에서 열린 만찬에서 황창규 KT 회장과 SK텔레콤 관계자에게 ‘반(反)화웨이’ 정책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또 크라크 차관은 &ld2019-11-11 08:58:59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