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그리드원, SGI서울보증에 RPA 프로젝트 구축
2019-11-12김태환 기자
인공지능 전문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SGI서울보증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1차 프로젝트 구축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그리드원은 이번 RPA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SGI서울보증의 ▲사실관계확인 요청 ▲개인금융신용보험 보상 심사 ▲부동산 등기부등본 확인 등 보상과 구상 지원 업무를 자동화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RPA 시스템 구축을 통해 현업 담당자들의 업무상 불편함을 해소하고, 업무 생산성과 신속성, 정확성을 동시에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그리드원은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구축과 함께 고객사 운영에도 적극 지원해, SGI서울보증이 향후 RPA 확산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는 “그리드원은 2017년 국내 최초로 RPA 솔루션인 ‘오토메이트원(AutomateOne)’을 선보인 이후 은행, 보험, 증권 등 다양한 금융산업의 RPA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며 “이번 사업으로 그리드원의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증명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그리드원은 지난 2005년 설립한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RPA 솔루션을 선보인 이래 현재 100개 이상의 국내 기업에 RPA를 구축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자 부품 소자용 초고속 대면적 광 기반 생산 기술 개발국내연구진이유연한 투명전극부터 고감도 신축성 스트레인 센서까지 다양한 전자 부품 소자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대면적 광기반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인쇄전자연구실 우규희 박사 연구팀이 전자부품 소자에 대면적 광원을 수㎳(밀리초, 1천분의 1초)로 아주 짧게 쪼여 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자 부품 소자를 만들 수 있는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대면적 광을 이용하면 나노와이어나 메시(mesh)타입의 유연성이 뛰어난 투명전극 패턴 필름을 비롯해 고감도 신축성2019-11-12 15:18:13박응서 기자
-
UNIST, 4대 총장에 KAIST 이용훈 교수 선임이용훈 KAIST 교수(64세)가 UNIST 제4대 총장에 선임됐다.UNIST는 12일(화) 오전 10시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제20회 임시이사회(이사장 이현순)를 열고, 이용훈 KAIST 교수를 차기 총장으로 선임했다.이사회에서 선임된 신임 총장은 교육부 장관의 동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임기는 승인일로부터 4년이다.이용훈 교수는 서울대에서 전기공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전기공학 전공으로 박사2019-11-12 14:34:05박응서 기자
-
오토메이션애니웨어, 마이크로소프트와 클라우드 기반 RPA 비즈니스 협력 강화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업 오토메이션애니웨어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고객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오토메이션애니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에서 웹 기반 RPA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이를 통해 전 세계 MS 애저 사용자들은 RPA 플랫폼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엔터프라이즈 A2019’를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언제 어디서나 RPA 플랫폼에 접속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토메이션애니웨어의 아이큐봇(IQ Bot)과 애저 코2019-11-12 10:03:4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