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시속100km를 2.8초 만에 돌파하는 슈퍼전기차 등장…페라리·포르쉐도 이제는 '친환경차'
포르쉐 첫 전기차 모델 '타이칸 터보S' 공개…1회 충전시 450km 주행
[앵커멘트]
보급형 자동차 군에서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델이 다양하게 출시됐지만 고성능 스포츠카는 여전히 내연기관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는데요, 세계적인 스포츠카 브랜드 페라리와 포르쉐가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를 출시하며 친환경차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시속100km를 2.8초 만에 돌파하며 도로를 질주하는 고성능 스포츠카.
스포츠카는 짧은 시간 내에 가속능력을 극대화시켜야하기 때문에 전기모터로 기존 성능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인식돼왔습니다.
하지만 세계적인 스포츠카 브랜드들이 내연기관 못지않은 성능을 갖춘 친환경 모델을 출시하며 편견을 깨기 시작했습니다.
포르쉐는 오늘(8일) 아시아 최초로 국내에서 순수 전기차 모델 ‘타이칸 터보S’를 공개했는데 최대 출력 760마력, 제로백은 2.8초에 불과합니다.
22분이면 배터리의 80%까지 충전할 수 있고, 1회 충전 시 450km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홀가 게이먼 포르쉐코리아 대표 :
자동차 산업이 E-모빌리티 시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포르쉐도) 전기차를 출시하는 것이 방향성 측면에서 합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포르쉐의 타이칸은 스포츠카의 대명사답게 강한 힘과 효율성, 다이나믹한 기능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운전자가 도로에서 안정성은 물론 운전의 다이나믹한 특성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페라리도 브랜드 역사상 최초로 양산형 하이브리드 슈퍼카 ‘SF90 스트라달레’를 출시했습니다.
전기모터와 합쳐져 최대 출력이 무려 1000마력으로 시속100km에 도달하는데까지는 2.5초면 충분합니다.
특히 포르쉐는 LG화학, 페라리는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제조사들의 배터리를 사용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환경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면서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하려는 이유도 있습니다.
2011년 102만대에 불과했던 친환경차 판매는 지난해 420만대로 늘었고, 2025년에는 900만대 이상 확대될 전망입니다.
100년간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온 내연기관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친환경차 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승교입니다.
김승교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자 부품 소자용 초고속 대면적 광 기반 생산 기술 개발국내연구진이유연한 투명전극부터 고감도 신축성 스트레인 센서까지 다양한 전자 부품 소자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대면적 광기반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인쇄전자연구실 우규희 박사 연구팀이 전자부품 소자에 대면적 광원을 수㎳(밀리초, 1천분의 1초)로 아주 짧게 쪼여 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자 부품 소자를 만들 수 있는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대면적 광을 이용하면 나노와이어나 메시(mesh)타입의 유연성이 뛰어난 투명전극 패턴 필름을 비롯해 고감도 신축성2019-11-12 15:18:13박응서 기자
-
UNIST, 4대 총장에 KAIST 이용훈 교수 선임이용훈 KAIST 교수(64세)가 UNIST 제4대 총장에 선임됐다.UNIST는 12일(화) 오전 10시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제20회 임시이사회(이사장 이현순)를 열고, 이용훈 KAIST 교수를 차기 총장으로 선임했다.이사회에서 선임된 신임 총장은 교육부 장관의 동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임기는 승인일로부터 4년이다.이용훈 교수는 서울대에서 전기공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전기공학 전공으로 박사2019-11-12 14:34:05박응서 기자
-
오토메이션애니웨어, 마이크로소프트와 클라우드 기반 RPA 비즈니스 협력 강화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업 오토메이션애니웨어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고객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오토메이션애니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에서 웹 기반 RPA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이를 통해 전 세계 MS 애저 사용자들은 RPA 플랫폼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엔터프라이즈 A2019’를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언제 어디서나 RPA 플랫폼에 접속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토메이션애니웨어의 아이큐봇(IQ Bot)과 애저 코2019-11-12 10:03:4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