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교량 붕괴와 산사태 사고 예방하는 '똑똑한 센서' 개발
KRISS, 정확한 하중 지점 찾는 ‘스마트 광섬유 센서’ 기술
국내 연구진이 구조물의 안전성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해 대형 사고를 방지하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안전측정센터 권일범 책임연구원팀은 구조물에서 변형이 집중되는 위치를 찾아 측정하는 ‘스마트 광섬유 센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사고 위험에 노출돼있는 불안정한 구조물을 지속적으로 점검‧관리할 수 있는 안전체계가 갖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기술은 구조물 전체 스캔은 물론, 원하는 특정 지점만을 선택해 측정할 수 있어 기존보다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고층 빌딩과 교량 같은 기반시설부터 산업현장에 설치하는 중대형 설비까지 모든 구조물은 노후화됨에 따라 균열과 파손이 발생하며 안전성이 떨어진다. 이런 문제를 초기에 감지하지 못하고 방치할 경우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아진다.
특히 구조물에 과하게 가해지는 하중은 안전성을 떨어뜨리는 주범으로 손꼽힌다. 게다가 하중이 특정 지점으로 몰리면, 구조 내부에서 하중에 대항해 생기는 응력과 변형이 커진다. 이는 결국 구조물에 계속 무리를 줘 노후화를 가속시킨다. 과적 화물차 통행량이 많은 교량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하지만 기존 방식인 분포형 광섬유 센서로는 정확한 변형 발생 지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복잡한 주파수 제어가 필수였으며, 많게는 수십 km의 광섬유를 부가적으로 사용해 부피가 커지고 온도 같은 외부 영향에 취약했다. 광섬유 온도가 변하면 굴절률에 영향을 줘 전혀 다른 곳을 변형 지점으로 측정할 수 있다.
KRISS 권일범 책임연구원팀은 부가적인 광섬유 없이 안정성을 확보한 스마트 광섬유 BOCDA 센서를 개발, 불안요소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주파수 조작이 아닌 위상변조 시간차 선택방식을 도입해 최소한의 감지 광섬유만으로 1km까지 정확한 하중 지점을 찾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교량 모형의 강철 구조물과 그라운드 앵커에 적용해 테스트를 완료했다. 센서를 교량에 설치하면 지속적으로 변형이 증가하는 지점을 발견해 결함 발생 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라운드 앵커는 구조물 해체 없이 단순 센서 설치만으로 점검할 수 있어, 앵커 파손으로 도로 옆 비탈면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스마트 광섬유 센서는 교량, 댐, 터널, 전기, 가스 등 사회 인프라부터 화학과 원자력 플랜트, 철도, 항공기, 우주 발사체까지 다양한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기술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일범 책임연구원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콘크리트 신경망센서 연구팀과 협력해 개발한 이번 기술은 인프라 시설물 모니터링에 활용될 것”이라며 “사람이 통증 부위를 스스로 감지해 느끼는 것처럼 구조물도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하중 지점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스마트 구조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레이저 피직스(Laser Physics) 등에 게재됐으며, 국내·외 특허출원을 마쳤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이수만, 인텔 스튜디오와 몰입형 미디어 콘텐츠 공동제작‘한국 아이돌계의 대부’ 이수만 프로듀서가 K팝 무대를 360도로 즐기는 새로운 콘텐츠 프로듀싱에 나선다.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수만 프로듀서는 SM엔터테인먼트와 스튜디오(INTEL STUDIOS)가 협업해 공동 제작하는 첨단 콘텐츠의 프로듀싱을 맡았다.SM과 인텔이 협업해 새롭게 선보일 몰입형 미디어 콘텐츠는 대규모 볼륨메트릭 캡처(Volumetric Capture) 기술과 상호작용 콘텐츠, 증강현실(AR) 기술이 K팝 스토리텔링과 결합했다.이수만 프로듀서는 LA 인텔 스튜디오를 방문해 인텔2019-11-14 10:10:35김태환 기자
-
5배광학줌 들어가는 스마트폰 카메라...진화하는 갤럭시S11[앵커멘트]삼성전자가 내년에 출시할 갤럭시S11의 카메라 성능을 대폭 강화합니다. 외신에선 5배 광학줌 모듈과 1억 화소 이미지센서를 탑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실제로 삼성전자가 관련 부품사들에게 생산능력 확대를 주문하는 등 내년 스마트폰 신작 채비가 본격화되는 모습입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삼성전자가 내년 2월 갤럭시S11 출시에 대비해 최근 스마트폰 카메라 부품사들에게 생산능력(CAPA) 확대를 주문했습니다.특히 새로 들어갈 5배 광학줌 관련 부품을 제공하는 한 부품사에겐2019-11-14 08:53:12조은아 기자
-
규제자유특구 지역 총 14곳으로 확대 적용…내년 상반기 3차 지정 예정[앵커멘트]정부가 2차 규제자유특구 지역을 발표했습니다.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될 경우, 규제와 제약 없이 신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데요. 벌써부터 3차 지역 지정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유민 기자입니다.[기사내용]자동차 운전자가 주행 도중 손과 발을 내려놓습니다.일반적인 자동차라면 큰 사고로 이어지지만,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자의 차량 조작 없이도 운행을 이어나갑니다.자율주행차량과 일반 차량이 도로에서 함께 주행하는 것은 규제 대상이지만, 세종시에서는 가능한 것입니다.앞서 7월, 정부는 세종시2019-11-14 08:47:32이유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