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접어야 산다' 삼성전자 vs 화웨이 폴더블폰 경쟁 본격화
화웨이 메이트X 15일 공식 온라인 스토어 통해 출시…1분여만에 매진
[앵커멘트]
15일 중국에서 화웨이의 폴더블폰 메이트X가 출시됐습니다. 한발 앞서 출시한 갤럭시폴드가 2초 완판에 성공하는 등 기선을 제압했는데 메이트X도 1분 만에 매진되면서 폴더블폰 시장의 격돌을 예고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화웨이가 15일 출시한 폴더블폰 '메이트X'입니다.
안으로 접는 갤럭시폴드와 달리 밖으로 접는 아웃폴딩 방식입니다.
접었을 때 앞뒤 화면은 6.6인치와 6.36인치, 펼쳤을 때 화면은 8인치로 태블릿PC 크기 정도로 갤럭시폴드(바깥 4.6인치, 안쪽 7.4인치)보다 큽니다.
화웨이의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서만 판매된 메이트X는 1분여만에 매진됐습니다.
메이트X의 초도물량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갤럭시폴드는 중국 1차 판매 당시 2만대 정도를 공급됐는데, 첫 판매인만큼 메이트X 역시 소규모로 물량을 준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동안 폴더블폰 시장은 삼성전자의 갤럭시폴드가 독주해왔습니다.
중국 시장에선 지난 8일 처음 출시한 이후 중국 양대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알리바바의 티몰과 징둥닷컴에서 2초만에 매진되기도 했습니다.
11일 진행한 2,3차 판매도 모두 완판에 성공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1%도 채 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성과입니다.
갤럭시폴드와 메이트X의 경쟁은 주말을 지나면서부터 보다 본격적으로 펼쳐질 전망입니다.
화웨이는 메이트X의 2,3차 판매 시기를 18일, 22일로 예고했고, 삼성전자는 내일부터 갤럭시폴드 4차 판매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여기에 더해 오는 19일엔 갤럭시폴드 5G 버전도 선보입니다. 중국 전용 초고가 제품군인 '심계천하' 라인업에 갤럭시폴드를 추가한 것입니다.
중국에서 펼쳐지는 폴더블폰 경쟁의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품질입니다.
메이트X는 출시 전부터 주의사항으로 '제품 손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영하 5도 미만의 환경에서 휴대폰을 구부리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을 공지하면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제 갓 소비자 평가를 받기 시작한 메이트X와 이미 전세계를 대상으로 품질을 검증받은 갤럭시폴드가 중국에서 펼치는 힘겨루기가 어떤 결과를 낼 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VR·AR용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대중화 마련…생기연,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 제조 기술 개발그동안 어둡고 선명도가 낮아 이용자 다수가 장시간 몰입에 불편을 겪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용 디스플레이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VR·AR용 OLED 화소를 유리 기판 위에서 RGB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고 수준인 1867PPI 해상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적·녹·청 유기물질을 순서대로 증착하는 OLED RGB 방식은 백색 OLED에 컬러필터를 적용하는 WOLED 방식보다 화소 집적도를 높이는2019-11-18 12:25:40박응서 기자
-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김일두(KAIST), 묵인희(서울대), 이진한(고려대)한국과학기자협회가‘2019과학언론상’ 수상자 14명을 선정해 18일 발표했다.과학의학기자 28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선정한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는 나노 분야의 우수한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초미세먼지 필터 등 기술 상용화에도 매진하고 있는 김일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20여 년 동안 알츠하이머 치료 연구와 기술이전 등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뇌과학연구자인 묵인희 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물을 주입하면서 촉발됐음을2019-11-18 11:22:32박응서 기자
-
배터리 저장 용량 대폭 높일 2차 전지 나온다…KIST, 수명 2배 늘린 리튬금속전지 음극재 개발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가량 더 높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 개발을 앞당기고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조원일 박사팀이 리튬금속전지 상용화에서 최대 걸림돌인 물리화학적 불안정성을 없애는 리튬-알루미늄 합금 기반의 새로운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연구팀은 전해질 시스템을 최적화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2배 이상 수명을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이차전지다. 리튬금속은 현재까지 파악된 음2019-11-18 09:17:0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