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엠 북카페] 시공간과 라이프스타일 경계를 허물다 - 넷플릭스의 시대
“시간과 공간,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의 경계마저 허물어뜨린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이미 온라인 미디어 스트리밍 세계의 아이콘이며, 미디어 플랫폼 제국의 왕으로 군림하고 있다. 2019년 전 세계 190여 개 국가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9년 상반기 집계된 가입자는 1억 48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넷플릭스는 통일된 콘텐츠 저장물 없이도 전 세계의 각기 다른 이용자의 욕망을 사로잡고 어필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 이용자를 정교하게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구매하고 개발하는 데 투자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타게팅이 미디어 역사에서 완전히 새로운 지평이라고 평가한다.
저자는 넷플릭스 왕국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관측한다. 미디어 기업이라면 누구라도 따라야 할 적중률 높은 자동추천과 뛰어난 고품질의 콘텐츠 문법을 ‘발명’해냈기 때문이다.
올해 초 한국 넷플릭스 가입자 현황이 발표되면서 모두가 깜짝 놀랐다. 겨우 2~30만 정도로 예측된 것에서 10배가 넘는 가입자 기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러 명이 하나의 계정을 공유하는 ‘넷플릭스 계’를 고려하면 실질적 이용자는 최소한 여기에서 3배 이상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실에서의 이 같은 파괴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아직 넷플릭스에 대한 변변한 안내서 하나 없다. 이 책은 넷플릭스를 이해함은 물론 산업적인 측면에서 탐구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한다.
대학의 미디어 전공자는 물론 IT 테크놀로지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디지털 변화의 한 축을 잡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이 책은 통찰력을 주기에 충분하다.
전 세계 젊은 미디어 학자들이 풀어낸 넷플릭스라는 새로운 미디어 지평의 제도, 문화, 전략 등을 흥미롭게 읽어낼 수 있다.
넷플릭스의 시대│코리 바크 지음│팬덤북스 펴냄│1만4000원(전자책)
* [테크엠 북카페]는 국내 최대 전자책 업체 리디북스와 함께 진행합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VR·AR용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대중화 마련…생기연,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 제조 기술 개발그동안 어둡고 선명도가 낮아 이용자 다수가 장시간 몰입에 불편을 겪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용 디스플레이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VR·AR용 OLED 화소를 유리 기판 위에서 RGB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고 수준인 1867PPI 해상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적·녹·청 유기물질을 순서대로 증착하는 OLED RGB 방식은 백색 OLED에 컬러필터를 적용하는 WOLED 방식보다 화소 집적도를 높이는2019-11-18 12:25:40박응서 기자
-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김일두(KAIST), 묵인희(서울대), 이진한(고려대)한국과학기자협회가‘2019과학언론상’ 수상자 14명을 선정해 18일 발표했다.과학의학기자 28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선정한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는 나노 분야의 우수한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초미세먼지 필터 등 기술 상용화에도 매진하고 있는 김일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20여 년 동안 알츠하이머 치료 연구와 기술이전 등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뇌과학연구자인 묵인희 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물을 주입하면서 촉발됐음을2019-11-18 11:22:32박응서 기자
-
배터리 저장 용량 대폭 높일 2차 전지 나온다…KIST, 수명 2배 늘린 리튬금속전지 음극재 개발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가량 더 높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 개발을 앞당기고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조원일 박사팀이 리튬금속전지 상용화에서 최대 걸림돌인 물리화학적 불안정성을 없애는 리튬-알루미늄 합금 기반의 새로운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연구팀은 전해질 시스템을 최적화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2배 이상 수명을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이차전지다. 리튬금속은 현재까지 파악된 음2019-11-18 09:17:0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