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라인, 야후 재팬 경영통합 추진…"日 최대 인터넷 플랫폼 탄생"
두 회사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한 신규 법인 설립 전망
[앵커멘트]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과 일본 포털업체 '야후 재팬'이 합병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일 양국의 최대 정보통신(IT) 업체 간 통합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박수연 기자!
[기사내용]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 손자회사 야후 재팬은 경영 통합 모델에 상당 부분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 회사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한 신규 법인을 설립하고, 이 합작사를 야후재팬의 운영사인 Z홀딩스와 라인이 운영하는 방식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소식에 미국 뉴욕증시에서 라인의 주가는 13일(현지시간) 26.6% 급등한 51.63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상장 이후 주가기록을 모두 갈아치웠습니다.
네이버는 현재 라인 주식의 70% 이상을 갖고 있고 야후 재팬의 대주주는 주식의 40%를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뱅크입니다. 지난달 서비스명 '야후 재팬'을 그대로 둔 채 사명을 Z홀딩스(ZHD)로 변경했습니다.
일본 시장 내 검색엔진 1위인 야후 재팬과 일본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라인이 결합하면 데이터와 기술력을 모두 갖춘 경쟁력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옵니다.
이번 소식에 대해 닛케이는 "단순히 인터넷 최대 기업이 탄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금융, 전자상거래를 아우르는 1억명 규모의 서비스가 탄생하는 것"이라며 "일본 인터넷 산업의 형세가 크게 바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 역시 이번 경영 통합이 실현되면 이용자수 합계 1억명을 넘어 검색과 결제, 온라인 상거래 등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일본 최대 인터넷 플랫폼이 탄생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5,0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야후 재팬은 소프트뱅크와 공동 출자한 스마트폰 결제 서비스 '페이페이'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8,0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거느리고 있는 라인 역시 최근 스마트폰 결제 서비스인 '라인페이'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야후재팬이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를 토대로 사업 영역을 폭넓게 확장하고 있는 라인과 손을 잡아 인터넷 사업 수준을 끌어올리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소식에 대해 네이버 자회사 라인 측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은 없다"면서 "기업가치를 늘리기 위해 합병을 비롯해 다양한 기회들을 항상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VR·AR용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대중화 마련…생기연,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 제조 기술 개발그동안 어둡고 선명도가 낮아 이용자 다수가 장시간 몰입에 불편을 겪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용 디스플레이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VR·AR용 OLED 화소를 유리 기판 위에서 RGB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고 수준인 1867PPI 해상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적·녹·청 유기물질을 순서대로 증착하는 OLED RGB 방식은 백색 OLED에 컬러필터를 적용하는 WOLED 방식보다 화소 집적도를 높이는2019-11-18 12:25:40박응서 기자
-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김일두(KAIST), 묵인희(서울대), 이진한(고려대)한국과학기자협회가‘2019과학언론상’ 수상자 14명을 선정해 18일 발표했다.과학의학기자 28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선정한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는 나노 분야의 우수한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초미세먼지 필터 등 기술 상용화에도 매진하고 있는 김일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20여 년 동안 알츠하이머 치료 연구와 기술이전 등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뇌과학연구자인 묵인희 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물을 주입하면서 촉발됐음을2019-11-18 11:22:32박응서 기자
-
배터리 저장 용량 대폭 높일 2차 전지 나온다…KIST, 수명 2배 늘린 리튬금속전지 음극재 개발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가량 더 높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 개발을 앞당기고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조원일 박사팀이 리튬금속전지 상용화에서 최대 걸림돌인 물리화학적 불안정성을 없애는 리튬-알루미늄 합금 기반의 새로운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연구팀은 전해질 시스템을 최적화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2배 이상 수명을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이차전지다. 리튬금속은 현재까지 파악된 음2019-11-18 09:17:0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