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유아이패스 “앞으로 RPA 본격화…1인 1로봇 시대 올 것”
앞으로 단순한 반복 업무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대체하는 소프트웨어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아이패스가 ‘1인 1로봇’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해 주목된다.
유아이패스코리아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유아이패스코리아 RPA 세미나’를 개최하고 내년 RPA 시장에 대한 전망을 내놨다.
발표를 맡은 백승헌 유아이패스코리아 전무는 “최근 국제연합(UN)에서 일자리, 임금 세계 경제 맥락에서 자동화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으며, RPA가 자동화 대명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백승헌 전무는 “실제 컨설팅 기업 PWC는 ‘1인 1로봇’을 테마로 1년 동안 유아이패스와 RPA 도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면서 “미국 5만명 직원 대상 1차 프로젝트를 마쳤고, 직원 가운데 절반 이상인 3만명이 RPA를 사용하고 세계 27만명 직원 모두가 1인 1로봇을 사용하도록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백 전무는 국내에서 RPA 활용예시로 KEB하나은행과 롯데 이커머스 사례를 소개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11월부터 38개 과제에 RPA를 적용했으며, 1∼3단계로 도입 범위를 순차적으로 넓혀 로봇 146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롯데 이커머스는 30개 가량 업무에 RPA를 도입했다. 향후 200개 이상 업무까지 도입 대상을 넓힐 방침이다.
백 전무는 “RPA를 도입하는건 당연하고 어떻게 전사로 확산할지가 관건”이라며 “개발자뿐 아니라 현업도 RPA를 직접 사용하고 누구나 RPA를 사용하는 시대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VR·AR용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대중화 마련…생기연,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 제조 기술 개발그동안 어둡고 선명도가 낮아 이용자 다수가 장시간 몰입에 불편을 겪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용 디스플레이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VR·AR용 OLED 화소를 유리 기판 위에서 RGB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고 수준인 1867PPI 해상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적·녹·청 유기물질을 순서대로 증착하는 OLED RGB 방식은 백색 OLED에 컬러필터를 적용하는 WOLED 방식보다 화소 집적도를 높이는2019-11-18 12:25:40박응서 기자
-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김일두(KAIST), 묵인희(서울대), 이진한(고려대)한국과학기자협회가‘2019과학언론상’ 수상자 14명을 선정해 18일 발표했다.과학의학기자 28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선정한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는 나노 분야의 우수한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초미세먼지 필터 등 기술 상용화에도 매진하고 있는 김일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20여 년 동안 알츠하이머 치료 연구와 기술이전 등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뇌과학연구자인 묵인희 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물을 주입하면서 촉발됐음을2019-11-18 11:22:32박응서 기자
-
배터리 저장 용량 대폭 높일 2차 전지 나온다…KIST, 수명 2배 늘린 리튬금속전지 음극재 개발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가량 더 높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 개발을 앞당기고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조원일 박사팀이 리튬금속전지 상용화에서 최대 걸림돌인 물리화학적 불안정성을 없애는 리튬-알루미늄 합금 기반의 새로운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연구팀은 전해질 시스템을 최적화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2배 이상 수명을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이차전지다. 리튬금속은 현재까지 파악된 음2019-11-18 09:17:0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