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사용료 미지급·특정 채널 퇴출"…막강 권한 IPTV, 갑질 어디까지
[앵커멘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이 거대 플랫폼사업자인 IPTV 업체의 이른바 '갑질' 행위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IPTV 업체들은 계약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은데다 PP 프로그램 사용료도 제때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인수합병 이후 특정채널 퇴출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유료방송 M&A 심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IPTV의 영향력 확대에 따른 갑질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습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은 플랫폼 사업자인 IPTV 업체의 불공정 거래 관행이 만연하다고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공급 관련 계약서를 사전에 작성하지 않거나 금액 부분은 비워둔 채로 진행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하소연합니다.
더 큰 문제는 IPTV 업체가 PP 프로그램을 방영한 뒤 줘야할 돈은 한참 뒤에 주거나 예상보다 적은 금액으로 지급한다는 겁니다.
[PP업계 관계자 : "힘있는 PP도 불공정거래가 성행합니다. 먼저 방송 내보내고 돈은 나중에 받아요. 그래도 협상력이 있으니까 공증이든 뭐든 써줄텐데 협상력이 떨어지는 중소 PP는 더 힘들죠."]
특정 채널에 대한 퇴출 우려도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IPTV 업체는 케이블TV 인수합병 이후 거대 플랫폼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게 되고, 채널 편성권한을 악용해 계약을 잘 이행하지 않거나 말을 듣지 않는 PP를 제외시키는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사용료 문제도 여전합니다. 케이블TV는 방송수신료 수익의 약 25%를 PP에게 사용료로 지급한 반면 IPTV의 지급 비율은 14% 정도에 불과해 불만이 매우 큽니다.
이런 이유로 PP협의회는 M&A 심사를 진행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PP 보호 방안이 담긴 정책 건의서를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유료방송 M&A 이후 IPTV 3사의 시장 점유율이 무려 80%에 달할 정도로 권한이 막강해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효과적인 '갑질 방지 대책'을 마련할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입니다.
이명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3분기 글로벌 D램 매출 4% 증가..메모리 반도체 회복세 가시화[앵커멘트]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들의 매출이 지난 분기보다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줄곧 하락세였던 D램 매출이 1년 만에 반등하면서 본격적인 회복세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낳고 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지난해 4분기부터 줄곧 하향 곡선을 그리던 글로벌 D램 시장이 마침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3분기 전세계 D램 매출액이 154억 4,700만 달러(약 18조원)을 기록하며 지난 분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밝혔2019-11-20 08:55:48조은아 기자
-
초고속인터넷 없는 건물, 최대 100Mbps 속도로 제공한다초고속인터넷이 제공되지 않는 건물도 내년부터 최대 100Mbps 속도로 인터넷이 제공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자가 원하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편적 역무 손실보전금 산정방법 등에 관한 기준' 개정안을 오는 29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대상은 현재 어떠한 사업자로부터 초고속인터넷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건물이며, 도서지역을 제외하고 최대 100Mbps 속도로 초고속인터넷이 공급된다.과기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 제공으로 발생한 손실의 60%를 해당 통신사 등 의무사업자끼리 분2019-11-20 08:52:44이명재 기자
-
'위기탈출' 넥슨-넷게임즈, 다시 밀월...차기작은 '히트' IP 모바일 MMORPG'V4' 흥행과 모회사 넥슨의 추가 투자 유치로 상장폐지 리스크를 벗어난 넷게임즈가 '히트' IP를 활용한 모바일 MMORPG 등 차기작 3종의 개발을 본격화한다. 장기적으로 PC와 콘솔 등 멀티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넥슨은 넷게임즈 인수와 이에 따른 투자손실로 적지 않은 출혈을 했으나 'V4'에 올인하는 모험수를 뒀고, 이의 성공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모양새다.양사가 함께 위기탈출에 성공한 양상인데, 넷게임즈의 차기작들로 양사가 윈-윈을 이어갈지 눈길을 모은다.19일 넷게2019-11-20 08:45:57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