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세계 자율주행차, 올해 33만대 증가에서 2023년 74만대 증가로 급증”
가트너 전망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자율주행 성능 향상”
2023년에 전 세계 자율주행자동차가 74만 대 이상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또 상업용 자율주행차보다 소비자용 자율주행차 판매량이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자율주행차 규제와 높은 비용, 안전 문제가 시장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밝힌 자율주행차 관련 전망에 따르면 사람의 감독 없이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하드웨어가 탑재된 차량은 2018년 13만7129대, 2019년 33만 2932대에서 2023년 74만 5705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서 '총 증가량’은 자율주행용 하드웨어가 탑재된 차량이 한 해 동안 증가한 수량(대수)이다. 실제 판매 대수는 아니고,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나타낸다.
조나단 데이븐포트 가트너 선임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현재 전 세계에서 운행 중인 차량 중에 연구 개발 단계를 넘어선 고급 자율주행차는 아직 없다”면서 “제도의 한계로 여전히 사람 감독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다수 자율주행차량들은 완전한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더(lidar) 센서 같은 하드웨어를 탑재하고 있다”면서 “자율주행 차량들은 무선(over-the-air,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트너에서는 이런 차량을 '자율주행 가능(autonomous-ready)' 차량으로 분류한다”고 말했다.
또 가트너는 이러한 성장세가 자율주행 기술 관련 규제를 가장 먼저 도입한 북미, 중화권, 서유럽 등의 국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상업용 자율주행차의 총 증가량은 동급의 소비자용 자율주행차 판매량과 비교할 때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부문에서 사람의 감독 없이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탑재한 차량의 수는 2020년 32만5682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상업 부문 자율주행차 대수는 1만590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생산 준비를 마친 자율주행차를 합법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규정을 갖춘 나라는 없다. 이 같은 제도적 미비가 자율주행차 개발과 이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조나단 데이븐포트 애널리스트는 “기업에서는 사람 감독 없이 자율주행차를 합법적으로 운행할 수 있을 때까지 자율주행차를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수 년이 걸릴 수 있겠지만 자율주행차 이용을 둘러싼 표준 규정이 많아질수록 자율주행차 생산과 출시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026년에 이르면 자율주행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센서 비용이 2020년 대비 약 25% 감소할 것이다. 하지만 센서 비용이 줄어들더라도 여전히 과도하게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가트너는 전망했다. 이에 따라 가트너는 향후 10년간 고급 자율주행 기능은 프리미엄 차량이나 모빌리티 서비스 차량에 제한적으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나단 데이븐포트는 “고급 자율주행 성능을 갖춘 연구 개발용 로보택시(robo-taxi)는 대당 30만에서 40만 달러(약 3억~4억6500만 원)에 달한다”며 “이러한 고급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센서인 첨단 라이더 디바이스는 개당 최대 7만 5000달러(약 8700만 원)를 호가할 수도 있다. 평균 소비자용 자동차 가격의 두 배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가트너는 안전 문제가 자율주행차 도입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자율주행차의 인지 알고리즘은 여전히 사람 운전자의 인지 능력에 비해 약간 뒤처진다.
가트너는 2025년에 이러한 시스템들이 사람 운전자보다 나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기술 기업들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자동차가 다양한 상황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수 시간 내에 수천 마일에 달하는 차량 테스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실제 시범 주행을 통해서는 수 주가 소요되는 데이터 양이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가트너의 ‘전망 분석: 전세계 자율주행차 총 증가량과 IoT’ 보고서에서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3분기 글로벌 D램 매출 4% 증가..메모리 반도체 회복세 가시화[앵커멘트]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들의 매출이 지난 분기보다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줄곧 하락세였던 D램 매출이 1년 만에 반등하면서 본격적인 회복세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낳고 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지난해 4분기부터 줄곧 하향 곡선을 그리던 글로벌 D램 시장이 마침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3분기 전세계 D램 매출액이 154억 4,700만 달러(약 18조원)을 기록하며 지난 분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밝혔2019-11-20 08:55:48조은아 기자
-
초고속인터넷 없는 건물, 최대 100Mbps 속도로 제공한다초고속인터넷이 제공되지 않는 건물도 내년부터 최대 100Mbps 속도로 인터넷이 제공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자가 원하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편적 역무 손실보전금 산정방법 등에 관한 기준' 개정안을 오는 29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대상은 현재 어떠한 사업자로부터 초고속인터넷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건물이며, 도서지역을 제외하고 최대 100Mbps 속도로 초고속인터넷이 공급된다.과기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 제공으로 발생한 손실의 60%를 해당 통신사 등 의무사업자끼리 분2019-11-20 08:52:44이명재 기자
-
'위기탈출' 넥슨-넷게임즈, 다시 밀월...차기작은 '히트' IP 모바일 MMORPG'V4' 흥행과 모회사 넥슨의 추가 투자 유치로 상장폐지 리스크를 벗어난 넷게임즈가 '히트' IP를 활용한 모바일 MMORPG 등 차기작 3종의 개발을 본격화한다. 장기적으로 PC와 콘솔 등 멀티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넥슨은 넷게임즈 인수와 이에 따른 투자손실로 적지 않은 출혈을 했으나 'V4'에 올인하는 모험수를 뒀고, 이의 성공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모양새다.양사가 함께 위기탈출에 성공한 양상인데, 넷게임즈의 차기작들로 양사가 윈-윈을 이어갈지 눈길을 모은다.19일 넷게2019-11-20 08:45:57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