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중국도 "한국 미세먼지는 중국발" 인정…"평균 32% 영향"
[앵커멘트]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에 대해 중국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자국 영향을 부정해왔는데요, 앞으로는 발뺌하기가 힘들 것 같습니다. 한중일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결과, 중국의 대기오염물질 영향을 우리나라와 일본이 같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한중일 공동 연구는 지난 2000년부터 진행됐지만 이렇게 공동으로 보고서를 낸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 :
"이번에 발간하는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의 환경당국 담당자의 검토를 마친 것입니다. 이 보고서는 당초 지난 해 발간될 예정이었으나, 중국측의 이견에 따라 발간이 연기되었습니다."]
(보고서 영상 중국영향강조)
이 보고서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지역과 영향을 받는 지역과의 관계를 모델 기법을 통해 분석했습니다.
지난 2017년 기준으로 중국의 대기오염물질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32%, 일본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25%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대기오염물질이 서울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중국 연구진은 23%, 한국과 일본의 연구진은 39%라고 분석했습니다.
중국발 대기오염이 부산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중국 연구진은 26%, 한국과 일본 연구진은 29%와 31% 수준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같은 수치는 연평균 수치에 불과하고 고농도 때의 영향을 따로 분석한 것도 아니어서 국민들의 체감과는 거리가 멉니다.
환경과학원은 올초 1월과 2월의 고농도 미세먼지 때 국외 영향이 70~80%대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중국은 이번 공동 연구결과를 따로 발표하지 않기로 했으며, 일본은 연구기관 홈페이지에만 게시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연구 보고서는 중국이 우리나라 미세먼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정한 것이라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중국이 인정한 영향은 30% 정도에 불과하고 중국이 공식 발표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선 한계로 평가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재경입니다.
이재경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삼성전자,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 2분기 연속 30% 돌파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TV시장에서 2분기 연속 시장점유율 30%를 돌파했습니다.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20일 올해 3분기 글로벌TV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매출액 점유율 30.3%, 출하량 기준 19.4%로 세계 1위를 유지했다고 밝혔습니다.삼성전자는 2,500달러 이상 고급형 TV시장과 QLEDTV, 75인치 이상 초대형TV 시장에서 지속적인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한편, LG전자는 매출액 점유율 15.9%, 출하량 11.9%로 삼성전자에 이어 2위에 올랐습니다.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2019-11-21 17:07:22고장석 기자
-
서울반도체, 日 렌즈 제조업체 상대로 美 특허 소송 '최종 승소'서울반도체는 오늘(24일) 일본 렌즈 제조업체 엔플라스와 미국에서 벌인 6년간의 특허 무효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고 밝혔습니다.미국 연방대법원은 최근 엔플라스가 서울반도체의 렌즈 특허기술을 고의로 침해했다는 내용의 항소법원 판결을 확정했습니다.엔플라스는 6년 전 LED의 빛을 고르게 확산하는 자사 특허를 무효화한 미국 항소법원 판결이 잘못됐다며 지난해 상고를 신청했습니다.이정훈 서울반도체 대표는 "회사의 제품을 믿고 사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긴 싸움을 포기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2019-11-21 17:06:01고장석 기자
-
SK C&C, 모든 종류의 클라우드 수용하는 ‘클라우드 Z DR’ 출시SK C&C가 기존 시스템은 물론 모든 종류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하나로 수용하는 ‘클라우드 Z DR(Disaster Recovery, 재해복구)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클라우드 Z DR 서비스’의 최대 강점은 고객이 사용 중인 모든 클라우드와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기존에는 서비스별로 각각 재해복구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다. 예를 들어 ERP 시스템에서 회계·생산 업무는 퍼블릭 클라우드로 구현하고, 인사·구매 업무는 기2019-11-21 10:59:5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