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차세대 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길 촉매 개발…백금 대체할 탄소계 촉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연료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유성종 박사팀이 경희대 김진수 교수와 공동연구로 알칼라인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고가격 촉매 백금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격 촉매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알칼라인 연료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전망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가 전기화학 반응을 하며 전기를 생산한다.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 같은 공해물질 없이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발전장치다. 하지만 반응이 느려 이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 촉매가 연료전지 발전 효율을 높이는 핵심 장치다.
최근까지 연료전지는 주로 백금계열 촉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금계열 촉매는 귀금속으로 가격이 비싸다. 이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탄소계 소재 촉매들이 우수한 효율을 보이고 있는데, 원리를 제대로 알지 못해 실제 알칼라인 연료전지에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KIST 연구진은 낮은 생산 수율과 후처리 공정 문제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속유기골격체(Metal Organic Frameworks)를 활용했다. KIST와 경희대 공동연구진은 스프레이 열분해법을 통해 코발트와 질소를 도핑한 MOF계 촉매를 개발했다. 스프레이 열분해법은 연속 공정으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공업용 가습기를 이용해 입자를 만들어 필요한 구조 입자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이렇게 개발한 촉매는 상용 백금 촉매보다 성능이 40% 더 뛰어났다.
KIST 유성종 박사는 “연료전지 산소환원반응 촉매 분야와 흡착제, 배터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환경 분야 국제 저널인 ‘응용촉매 B환경(Applied Catalysis B-Environmental)’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2019 서울퓨처포럼 SFF]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 "한·일 경제 갈등, 민간에서 풀어야"'총·균·쇠'의 저자이자 세계적 석학인 재레드 다이아몬드 미국 UCLA 교수가 "한국과 일본의 경제 갈등은 민간 차원에서 풀어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머니투데이방송(MTN)이 27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연 '2019 서울퓨처포럼(SFF)'에서 영상 강의를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주제 발표를 이어가며 한·일 경제 갈등에 대해 "한국과 일본, 양국의 입장을 잘 알고 있다"2019-11-28 08:46:40유찬 기자
-
미래는 기술과 예술의 융합...테크에 빠진 예술인들문화예술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등 기술의 이해를 돕고 비즈니스 적용 방안을 모색해보는 '예술X기술 프로젝트'가 성황리에 첫 과정을 마무리했다.예술경영지원센터가 10월 15일부터 11월 7일까지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과정으로 나눠 5주간 운영한 이 강좌에는 블록체인 15명, 인공지능 20명 등 총 35명이 수료증을 받았다.당초 이 과정은 70명을 대상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훌쩍 넘어선 120명이 신청하는 인기를 보였다. 이 중에 최종으로선정돼 강의를 들은 수강생 중에서 의무 수강 일수2019-11-27 18:26:08김태환 기자
-
[2019 서울퓨처포럼] 세계 패권전쟁 속 해법은 기술력…'퍼스트 무버' 돼야미국과 중국 두 국가의 패권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이 생존하려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술을 상용화하고 활용하는데 있어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가 아니라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나서 혁신성장을 지속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도록 불합리한 규제를 혁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머니투데이방송(MTN)이 27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주최한 '2019 서울퓨쳐포럼(Seoul Future Forum, SFF)'에서 재편되는 세계질서 속에서2019-11-27 16:11:41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