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업비트, 해킹으로 580억원 규모 암호화폐 탈취당해
'입출금 서비스 중단' 공지 후 5시간 지나 이더리움 해킹 알려…"업비트가 피해 충당"
2019-11-28황이화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580억원 규모 암호화폐가 탈취당했다.
27일 오후 6시경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이석우 대표는 공지문을 통해 "오후 1시06분 업비트 이더리움 핫월렛에서 이더리움 34만2,000개(약 580억원)가 알 수 없는 지갑으로 전송됐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이날 오후 1시34분 업비트가 갑작스럽게 올린 '암호화폐 입출금 서비스 일시 중단 및 긴급 서버 점검 진행' 공지글이 해킹 의혹을 일으킨 데 대한 입장이다.
업비트는 이번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액을 업비트 자산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이 대표는 "회원님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회원 자산에는 피해가 없도록 34만2,000개의 이더리움은 업비트 자산으로 충당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입출금 서비스 일시 중단 소식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암호화폐의 콜드월렛(온라인 연결이 없는 오프라인 지갑) 대량 이전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핫월렛(온라인 연결이 있는 지갑)에 있는 모든 암호화폐는 콜드월렛으로 이전을 완료했다"며 "입출금이 재개되기까지는 최소 약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량 거래 중 이더리움만 이상 거래"라며 "나머지 대량 거래는 업비트가 핫월렛에 있는 모든 암호화폐를 콜드월렛으로 옮긴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이화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신물질 개발로 퀀텀닷 태양전지 전류 손실 막아…차세대 태양전지 상용화 기대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기대되고 있는 퀀텀닷 태양전지의 전류 손실을 막아 성능을 향상시키는 신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김진영 박사팀과 계산과학연구센터 김동훈 박사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퀀텀닷 태양전지의 고질적 문제였던 전류 손실을 막아 전지효율을 기존 대비 47% 상승시켜, 퀀텀닷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28일 밝혔다.퀀텀닷(Quantum Dot) 태양전지는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성이 뛰어나 현2019-11-29 12:07:39박응서 기자
-
석탄화력 최대 15기 가동중단…미세먼지 44% 감축한다[앵커멘트]겨울철 전력 정책의 목표는 난방을 위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을 최대한 줄이는 건데요. 정부는 이번 겨울에 석탄화력발전기를 최대 15기까지 가동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미세먼지 배출량은 지난 겨울보다 44%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재경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정부가 마련한 '겨울철 전력수급 및 석탄발전 감축대책'은 안정적인 전력수급 유지를 전제로 석탄발전을 최대한 감축하는 게 목표입니다.올 겨울 최대 전력수요는 평소엔 8,860만kW 안2019-11-29 09:30:32이재경 기자
-
삼성전자, 업계 최초 '자발광 QLED 상용화 가능성' 입증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퀀텀닷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며 '자발광 QLED(Quantum Dot 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삼성전자는 퀀텀닷 소재의 구조를 개선해 자발광 QLED 소자의 발광 효율 21.4%를 달성하고 소자 구동 시간을 업계 최고 수준인 100만 시간(휘도 100니트 반감수명 기준)으로 구현한 최신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장은주 펠로우(교신저자)는 "2019-11-29 09:28:53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