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이통사 5G '스팟 정책' 난무…'신분증 퀵' 업체까지 출몰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기자회견 열고 "스팟 정책 즉각 중단" 촉구
5G 상용화 후 이동통신사들의 판매 수수료(리베이트)에 의한 이용자 및 유통망 차별 행위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10일 서울 마포구 소재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별 정책 등 시장 불공정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유통협회는 이날 2019년을 '단통법 시행 이후 최악의 불공정 행위가 자행되는 해'라고 규정했다. 5G 상용화 후 가입자 확보 경쟁이 치열한 이동통신 3사의 마케팅 정책이 불공정 행위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협회에 따르면, 이통사들은 대리점·판매점 등에서 휴대폰 판매 시 지급하는 리베이트를 매장별로 달리 주고 있다. 최대 40만원까지 차이가 났다. 이른바 '스팟 정책' '타깃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 '성지'로 불리는 곳들이 이 같은 스팟 정책의 수혜를 입은 매장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통망 간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는 게 협회의 설명이다.
이종천 KMDA 이사는 "이통사 자회사나 특수 채널은 이런 스팟 정책에 포함돼 있다"며 "특수 채널을 위해 이동통신사가 스팟 정책을 풀어주는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같은 스팟 정책이 난무함에 따라 스팟 매장이 아닌 곳 직원이 퀵 서비스 업체를 통해 스팟 매장 쪽으로 손님의 신분증을 배달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유출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 이사는 "신분증 스캐너가 도입된 목적은 개인정보보호였지만 신분증을 보관하는 직업, 보내는 직업, 스캔하는 직업이 발생할 정도"라며 "이통사는 2019년 이동통신 유통시장을 초토화시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차별 정책은 결과적으로 소비자 혜택 차별로 이어진다. KMDA는 이통사가 이 같은 차별 정책을 운영하는 이유로 마케팅비용 절감 효과 및 모니터링 벌점제도 회피 등을 지목했다.
차별 정책으로 미용실이나 학원 등에서 휴대폰 가입 신청 접수만 대행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신규 업종'이 출현한 것도 유통망 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동통신유통망이 운영되려면 이통 3사를 회원사로 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를 통해 '사전승낙'을 받아야하는데, 이들 접수 대행 미용실과 학원은 사전승낙 없이 영업이 가능한 상황이다.
유통망에선 스팟 정책에 불만이 크지만, 이통사와 방통위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말만 되풀이 중이다.
KMDA는 현재 이통3사 대표이사와 사업 책임자 앞으로 이 같은 불공정 행위 시정 요구에 대한 답변을 오는 17일까지 달라고 공식 요청해 놓은 상태다. KMDA는 스팟 정책 시정을 위해 방통위 외 공정거래위원회 제소를 준비 중이다.
이 이사는 "시정 내용이 없을 경우 빠른 시일 내 공정위 제소를 할 것"이라며 "1주일 정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이화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이통사 5G '스팟 정책' 난무…'신분증 퀵' 업체까지 출몰5G 상용화 후 이동통신사들의 판매 수수료(리베이트)에 의한 이용자 및 유통망 차별 행위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10일 서울 마포구 소재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별 정책 등 시장 불공정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유통협회는 이날 2019년을 '단통법 시행 이후 최악의 불공정 행위가 자행되는 해'라고 규정했다. 5G 상용화 후 가입자 확보 경쟁이 치열한 이동통신 3사의 마케팅 정책이 불공정 행위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협회에 따르면, 이통사들은2019-12-11 08:53:56황이화 기자
-
암호화폐업계, 자체 투명성 강화…제도권 편입 '급물살'[앵커멘트]최근 업비트의 대규모 암호화폐 도난 사건으로 업계 분위기가 잔뜩 냉각된 가운데 업계가 자체적으로 정보 투명성 작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평가 등급제, 공시 플랫폼 등을 통해 시장 건전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현재 유통되고 있는 암호화폐는 3000여종이 넘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백서나 거래소 상장심사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결하기 어려워 투자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민간단체 '한국블록체인평가'는 '블록체인 평가 등급제'를 도입2019-12-11 08:50:19박수연 기자
-
펀디엑스, 지역문제 해결 ‘크립토 제주’ 파트너사로 프로젝트 참여싱가포르 기반 블록체인 개발사 펀디엑스가 크립토제주의 파트너사로 가치더함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10일 밝혔다.크립토제주의 ‘나의 제주사랑법 — 블록체인 텀블러 사용’ 프로젝트는 QR코드가 찍힌 텀블러를 고객에게 제공한다.이 프로젝트는 텀블러 사용자에게 환경보호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시각화해 보여주고, 가맹점에 따라 보상코인을 적립해 다양한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펀디엑스의 엑스포스를 활용하면 QR코드 인식과 토큰 적립, 텀블러 사용 횟수를 체크할 수 있다.프로젝트2019-12-10 17:10:10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