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제3인터넷은행에 '토스뱅크' 확정
토스뱅크 컨소시엄, 제3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획득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주도하는 '토스뱅크 컨소시엄'(이하 토스뱅크)이 16일 제3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예비인가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토스뱅크는 이날 외부평가위원회 심사 및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획득했다.
토스뱅크는 이로써 조만간 공식 준비법인인 '한국 토스은행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하고 본 인가를 위한 인력 구성 및 물적 설비 구축 등의 준비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토스뱅크는 최대 주주인 비바리퍼블리카가 지난 5년여간의 핀테크 사업 운영으로 쌓아온 경험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KEB하나은행, SC제일은행 등의 시중은행 및 한화투자증권, 웰컴저축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주주로 참여해 자본 안정성을 크게 강화했다.
또 중소기업중앙회, 이랜드월드, 한국전자인증, 글로벌 투자사(VC) 등이 주주로 참여해 성공적인 제3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최적의 안을 구성했다.
토스뱅크는 심사 과정을 통해 새로운 인터넷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금융 소외 계층(underbanked)에 최적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전통 금융권에서 소외되어 온 중신용 개인 고객 및 소상공인(SOHO) 고객에 집중하고자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포괄적인 금융 데이터 활용 경험을 비롯, 혁신 상품 출시 경험, 압도적 사용자 경험 설계, 혁신적 조직 구성 등을 토스뱅크의 핵심 역량으로 소개하고, 사업 계획 및 운영 전반에 대한 계획을 공유하며 은행 설립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토스뱅크는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의 1,600만 가입자와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전략 주주의 방대한 고객군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 및 운영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금융 상품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토스 이승건 대표는 "토스뱅크는 기존 금융권이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고객들에게 기존에 불가능했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용과 혁신의 은행이 되고자 한다"며 "새로운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와 성원에 혁신으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수수료 인상 현실화"…배민·요기요, 거세지는 시장 독과점 논란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사실상 시장 독과점을 형성한 것을 놓고 업계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쟁 구도 속에서 앞다퉈 내놓던 소비자 혜택이 줄어들고 배달 수수료와 광고료 인상으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과도해질수 있다는 배경에서다.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16일 논평을 통해 "1개 기업으로 배달 앱 시장이 통일되는 것은 자영업 시장에 고통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90% 이상의 배달 앱 시장이 독일 자본에 지배를 받게 되면 각종 수수료 인상과 횡포가 현실화될 수2019-12-17 09:06:52박수연 기자
-
"리니지 형제 독주 막아라"...숨죽였던 게임업계 신작 파이프 라인 '재가동'[앵커멘트]엔씨소프트가 리니지2M의 흥행으로 승승장구하는 와중에 다른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를 미루며 숨을 죽여왔는데요, 내년 1분기부턴 기대작들을 연이어 선보이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올해 하반기 게임시장 경쟁은 '리니지 형제'를 내세운 엔씨소프트의 독주와 경쟁사들의 맞대응 양상에 초점이 쏠렸습니다.예상대로 리니지2M과 리니지M이 구글 매출 1,2위를 차지했는데,엔씨의 게임 IP를 빌려 넷마블이 만든 리니지2 레볼루션, 블소 레볼루션을 포함하면2019-12-17 09:04:14서정근 기자
-
개인 고객도, 기업 고객도 난관…SKT, 연내 2G 종료 어렵다SK텔레콤의 연내 2G 종료 목표가 불발될 전망이다. 정부 인가를 위해 가입자 축소가 관건이지만, 개인 가입자부터 기업 가입자까지 기존 2G 고객을 줄이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다.16일 SK텔레콤 및 정부 등에 따르면, 현재 SK텔레콤은 정부의 추가 요청으로 2G 종료 관련 자료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앞서 지난 2월 SK텔레콤은 2G 장비 노후화 및 단말 생산 중단, 그리고 가입자의 지속적인 감소, LTE·5G 중심의 글로벌 ICT 생태계 형성 등을 이유로 들어 '연내 2G 종료'를 선언했다.2019-12-17 09:01:29황이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