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도로결빙 위험 막는 노면온도 변화 패턴 예측시스템 개발
건설연, 차량센서와 빅데이터 응용해 예측
겨울에 도로 결빙 위험 정보를 받아 전보다 안전 운전을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이 노면온도 변화 패턴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차량에 부착된 관측장비로 외부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노면 결빙 위험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노면온도는 겨울철 도로의 노면상태를 결정짓는 중요 요소다. 그러나 약 11만 km에 달하는 국내 도로망 전체의 노면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는 없다.
이에 연구팀은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노면온도가 변하는 패턴을 예측해 도로 노면상태를 알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자유로와 영동고속도로 일대에서 다양한 기상조건과 도로구간 특성에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수행했다. 5년 넘게 연구한 결과 ‘노면온도변화 패턴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우선 ‘모바일 차량 주행환경 관측장비(VISS, Vehicle is a Sensor)’를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외부온도와 위치정보를 동시에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 정보를 LTE 통신 같은 방법으로 ‘도로 주행 환경 분석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노면온도변화 패턴 예측 모형’이 플랫폼으로 전송된 정보와 기상청이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기온‧습도 같은 날씨정보, 기존에 입력해 둔 위치별 도로조건 등 다양한 조건을 연계해 기계학습(머신러닝) 기반 모형으로 노면온도 변화 패턴을 예측한다. 이를 통해 도로관리자와 운전자는 도로결빙 같은 노면위험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체이자 팅크웨어와 협력해 기술 시범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양충헌 박사는 “‘노면온도변화 패턴 예측 시스템’ 개발로 겨울철 도로의 노면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은 운전자에게 제공하면 동절기 차량의 안전운행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수수료 인상 현실화"…배민·요기요, 거세지는 시장 독과점 논란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사실상 시장 독과점을 형성한 것을 놓고 업계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쟁 구도 속에서 앞다퉈 내놓던 소비자 혜택이 줄어들고 배달 수수료와 광고료 인상으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과도해질수 있다는 배경에서다.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16일 논평을 통해 "1개 기업으로 배달 앱 시장이 통일되는 것은 자영업 시장에 고통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90% 이상의 배달 앱 시장이 독일 자본에 지배를 받게 되면 각종 수수료 인상과 횡포가 현실화될 수2019-12-17 09:06:52박수연 기자
-
"리니지 형제 독주 막아라"...숨죽였던 게임업계 신작 파이프 라인 '재가동'[앵커멘트]엔씨소프트가 리니지2M의 흥행으로 승승장구하는 와중에 다른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를 미루며 숨을 죽여왔는데요, 내년 1분기부턴 기대작들을 연이어 선보이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올해 하반기 게임시장 경쟁은 '리니지 형제'를 내세운 엔씨소프트의 독주와 경쟁사들의 맞대응 양상에 초점이 쏠렸습니다.예상대로 리니지2M과 리니지M이 구글 매출 1,2위를 차지했는데,엔씨의 게임 IP를 빌려 넷마블이 만든 리니지2 레볼루션, 블소 레볼루션을 포함하면2019-12-17 09:04:14서정근 기자
-
개인 고객도, 기업 고객도 난관…SKT, 연내 2G 종료 어렵다SK텔레콤의 연내 2G 종료 목표가 불발될 전망이다. 정부 인가를 위해 가입자 축소가 관건이지만, 개인 가입자부터 기업 가입자까지 기존 2G 고객을 줄이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다.16일 SK텔레콤 및 정부 등에 따르면, 현재 SK텔레콤은 정부의 추가 요청으로 2G 종료 관련 자료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앞서 지난 2월 SK텔레콤은 2G 장비 노후화 및 단말 생산 중단, 그리고 가입자의 지속적인 감소, LTE·5G 중심의 글로벌 ICT 생태계 형성 등을 이유로 들어 '연내 2G 종료'를 선언했다.2019-12-17 09:01:29황이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