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중국 반도체' 올라탄 삼성ㆍSK하이닉스...中 70% 자급률 '기회로'
[앵커멘트]
중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수요국이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중국은 자국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비중을 70%까지 늘릴 계획인데요,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중국 현지 생산을 늘리며 더 큰 기회를 잡는다는 계획입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삼성전자의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은 삼성의 유일한 메모리 반도체 해외 생산기지입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낸드플래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시안 생산법인에 9조 5,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2017년에도 시안 공장에 7조 8,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번 투자까지 합치면 총 17조 3,000억원의 대규모의 투자입니다.
SK하이닉스도 지난해부터 자회사인 시스템아이씨를 통해 중국 장쑤(江蘇)성 우시(無錫)시에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생산 라인 가동을 위해 충북 청주시에 있는 파운드리 공정 장비도 중국으로 옮길 계획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투자에 집중하는 것은 '반도체 굴기'를 선언한 중국 정부가 대규모 투자에 나서면서 현지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최대 수요국인 중국은 현재 15% 수준인 반도체 자급률을 2025년 7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하며 166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의 목표 자급률은 중국 영토 내에서 생산하는 우리 반도체 생산까지 모두 포함하는 부분"이라며 우리 기업들에 중국 시장이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인공지능과 5G, 사물인터넷 제품에 사용될 3차원 V낸드 플래시 수요를, SK하이닉스는 110나노미터 이상의 아날로그 반도체 수요를 중국에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수수료 인상 현실화"…배민·요기요, 거세지는 시장 독과점 논란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사실상 시장 독과점을 형성한 것을 놓고 업계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쟁 구도 속에서 앞다퉈 내놓던 소비자 혜택이 줄어들고 배달 수수료와 광고료 인상으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과도해질수 있다는 배경에서다.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16일 논평을 통해 "1개 기업으로 배달 앱 시장이 통일되는 것은 자영업 시장에 고통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90% 이상의 배달 앱 시장이 독일 자본에 지배를 받게 되면 각종 수수료 인상과 횡포가 현실화될 수2019-12-17 09:06:52박수연 기자
-
"리니지 형제 독주 막아라"...숨죽였던 게임업계 신작 파이프 라인 '재가동'[앵커멘트]엔씨소프트가 리니지2M의 흥행으로 승승장구하는 와중에 다른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를 미루며 숨을 죽여왔는데요, 내년 1분기부턴 기대작들을 연이어 선보이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올해 하반기 게임시장 경쟁은 '리니지 형제'를 내세운 엔씨소프트의 독주와 경쟁사들의 맞대응 양상에 초점이 쏠렸습니다.예상대로 리니지2M과 리니지M이 구글 매출 1,2위를 차지했는데,엔씨의 게임 IP를 빌려 넷마블이 만든 리니지2 레볼루션, 블소 레볼루션을 포함하면2019-12-17 09:04:14서정근 기자
-
개인 고객도, 기업 고객도 난관…SKT, 연내 2G 종료 어렵다SK텔레콤의 연내 2G 종료 목표가 불발될 전망이다. 정부 인가를 위해 가입자 축소가 관건이지만, 개인 가입자부터 기업 가입자까지 기존 2G 고객을 줄이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다.16일 SK텔레콤 및 정부 등에 따르면, 현재 SK텔레콤은 정부의 추가 요청으로 2G 종료 관련 자료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앞서 지난 2월 SK텔레콤은 2G 장비 노후화 및 단말 생산 중단, 그리고 가입자의 지속적인 감소, LTE·5G 중심의 글로벌 ICT 생태계 형성 등을 이유로 들어 '연내 2G 종료'를 선언했다.2019-12-17 09:01:29황이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