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배민·요기요', 경쟁자에서 한식구로…시장 과점 논란도
[앵커멘트]
국내 배달앱 1위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국내 2위 배달앱 '요기요'를 운영하는 독일 기업에 인수됩니다. 국내 인터넷 기업의 인수합병 중 가장 큰 규모인데요, 이번 딜을 통해 국내 배달앱 시장도 한차례 지각변동이 예상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국내 2위 배달앱 요기요를 운영하는 독일 업체 딜리버리히어로(DH)가 우아한형제들의 국내외 투자자 지분 87%를 인수합니다.
김봉진 대표 등 우아한형제들 경영진이 보유한 지분 13%도 향후 DH 본사 지분으로 전환됩니다.
딜리버리히어로가 평가한 우아한형제들의 기업가치는 약 4조7500억원. 국내 인터넷 기업 인수합병 중 최대 규모입니다.
양측은 50대 50 지분으로 싱가포르에 합작회사 '우아DH아시아'를 설립하고 약 600억원의 혁신기금을 조성해 푸드테크 분야의 서비스 개발을 지원합니다.
특히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가 이번 합작회사의 회장을 맡아 아시아 11개국 사업 전반을 담당할 계획입니다.
우아한형제들 측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내 배달앱 시장 환경에 따라 인수합병을 결정하게 됐다"며 "이번 M&A를 계기로 국내를 넘어 아시아 시장 공략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시아 시장을 배달앱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 보고 있는 딜리버리히어로 측은 공격적으로 시장 선점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딜에 대해 IT업계는 국내 스타트업으로 성장한 기업이 글로벌로 뻗어나가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관계자:
아시아 총괄로써 배달의민족이라는 브랜드로 아시아 국가에 깔리는 것으로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 셈입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하나의 외국계 회사가 국내 배달앱 시장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게 되는 만큼 시장 과점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시각이 나옵니다.
여전히 잠재 성장력이 높은 배달앱 시장을 둘러싸고 새롭게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이커머스 기업과 기존 배달앱 업체간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수연(tout@mtn.co.kr)입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수수료 인상 현실화"…배민·요기요, 거세지는 시장 독과점 논란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사실상 시장 독과점을 형성한 것을 놓고 업계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쟁 구도 속에서 앞다퉈 내놓던 소비자 혜택이 줄어들고 배달 수수료와 광고료 인상으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과도해질수 있다는 배경에서다.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16일 논평을 통해 "1개 기업으로 배달 앱 시장이 통일되는 것은 자영업 시장에 고통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90% 이상의 배달 앱 시장이 독일 자본에 지배를 받게 되면 각종 수수료 인상과 횡포가 현실화될 수2019-12-17 09:06:52박수연 기자
-
"리니지 형제 독주 막아라"...숨죽였던 게임업계 신작 파이프 라인 '재가동'[앵커멘트]엔씨소프트가 리니지2M의 흥행으로 승승장구하는 와중에 다른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를 미루며 숨을 죽여왔는데요, 내년 1분기부턴 기대작들을 연이어 선보이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올해 하반기 게임시장 경쟁은 '리니지 형제'를 내세운 엔씨소프트의 독주와 경쟁사들의 맞대응 양상에 초점이 쏠렸습니다.예상대로 리니지2M과 리니지M이 구글 매출 1,2위를 차지했는데,엔씨의 게임 IP를 빌려 넷마블이 만든 리니지2 레볼루션, 블소 레볼루션을 포함하면2019-12-17 09:04:14서정근 기자
-
개인 고객도, 기업 고객도 난관…SKT, 연내 2G 종료 어렵다SK텔레콤의 연내 2G 종료 목표가 불발될 전망이다. 정부 인가를 위해 가입자 축소가 관건이지만, 개인 가입자부터 기업 가입자까지 기존 2G 고객을 줄이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다.16일 SK텔레콤 및 정부 등에 따르면, 현재 SK텔레콤은 정부의 추가 요청으로 2G 종료 관련 자료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앞서 지난 2월 SK텔레콤은 2G 장비 노후화 및 단말 생산 중단, 그리고 가입자의 지속적인 감소, LTE·5G 중심의 글로벌 ICT 생태계 형성 등을 이유로 들어 '연내 2G 종료'를 선언했다.2019-12-17 09:01:29황이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