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인공지능 반도체 세계 1위 목표… AI 인재·스타트업 적극 육성한다
[앵커멘트]
정부가 AI 시대를 대비해 경제, 사회 혁신을 위한 국가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AI집적단지 조성 같은 관련 인프라도 대거 확충하기로 했는데요. 또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AI 고급·전문인재 양성,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AI 시대를 맞아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오는 2030년 AI 반도체 세계 1위 도약, 최대 455조원의 경제효과 창출 등의 목표를 세웠습니다.
먼저 설계, 미래소자, 장비, 공정 등 AI 반도체 핵심기술과 신개념 인공지능 반도체(PIM) 개발을 위해 2029년까지 1조원 이상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차세대 AI 연구개발을 통해 핵심기술을 5개 이상 보유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 인지과학 등 인공지능 기초연구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AI 인프라도 대거 늘립니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개 가능한 공공데이터를 전면 개방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등 민감한 내용은 기업이 접근해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는 적극적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를 별도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광주 지역에 주력산업인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와 인공지능 융합이 촉진되는 AI 집적단지를 조성한 뒤 전국 단위로 AI 거점을 늘릴 예정입니다.
또한 AI 고급·전문인재를 매년 1만명 양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관련학과를 신설, 증설하는 한편 교수의 기업 겸직을 허용하고 관련 대학원 프로그램, 초중등 교육시간 등 필수교육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AI 전문기업과 각 분야별 역량있는 업체, 공공기관이 참여해 '닥터앤서' 같은 AI 융합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국내 기업에게 초기 사업기회를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스타트업이 모이는 올림픽을 내년 세계 최초로 개최해 AI 영상인식 대결, 로봇 축구 등 종목별로 실력을 겨루고 우수팀에게 사업화 자금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기존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AI 범국가 위원회'로 조직을 변경해 국가전략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입니다.
이명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뉴스후] 기존 정책 짜집기한 인공지능 국가전략… AI 강국 도약 가능할까[앵커멘트]정부가 AI 국가전략을 마련해 글로벌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인공지능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AI 반도체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AI 기반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등 인프라도 대거 늘리기로 했는데요. 그러나 기존 정책 짜깁기에 현실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오는데다 정책 추진의 핵심인 데이터3법 통과 여부도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구체적인 내용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 1) 우리 정부가 정책 추진한 배경이 궁금한데 선진국 AI2019-12-19 09:04:05이명재 기자
-
LG유플+CJ헬로 '메기 효과'... 5G 알뜰폰 요금제 쏟아진다[앵커멘트]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약 7%만이 5G 이용자인 현재, 알뜰폰 업체까지 새 요금제를 선보이며 5G 가입자 확보에 나섰습니다. 특히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가 이 같은 시장 변화에 결정적 요인이 됐다고 분석되는데요. 앞으로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황이화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인해 통신시장도 급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뜰폰 업체까지 속속 5G 요금제를 출시해 알뜰폰 업계 5G 경쟁이 본격화되는 모습입니다.지난 10월 LG유플러스 망을2019-12-19 09:00:17황이화 기자
-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람보르기니 차량 추적·인증에 적용고객관계관리(CRM)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세일즈포스가 이탈리아 슈퍼카 제조기업인 람보르기니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차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증하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람보르기니는 중고차량 매매시 차량 정품 인증을 위해 이탈리아 산타가타 볼로냐스(Sant’Agata Bolognese)에 있는 본사에서 약 800~1000회에 걸친 인증 절차를 실시하고 있다.기존에는 각 차량 부품에 대한 정품 인증은 물론, 서비스 내역 점검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 활용과 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세일즈포스2019-12-18 16:40:5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