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ESS 화재 2차 조사단 조사 결과 발표 임박"… 배터리 결함 가능성 포함된 듯
[앵커멘트]
에너지저장장치, ESS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하면서 안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정부가 다시 조사단을 꾸려 2차 조사를 벌였고, 최근에 그 조사를 마무리 했습니다. 특히 배터리와 화재의 연관성을 입증할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됩니다.
문수련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지난 8월 충남 예산의 한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된 에너지 저장장치(ESS)에서 화재가 발생해 전소됐습니다.
2017년 8월 이후 23건의 ESS 화재가 발생하자 정부가 화재원인 조사결과 발표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은 직후입니다.
이후에도 ESS 화재는 4건이나 더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과 업계에선 '배터리제조사 등의 책임을 특정할 수 없다'는
1차 ESS 화재 조사가 부실했다는 지적이 잇달았습니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 원장 : 일부 배터리셀에서 제조상 결함이 발견됐으나 해당 결함을 모사한 실증 시험에서 화재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미봉책을 내놓은지 두달 만에 다시 화재사고가 잇따르자 정부는 국회, 학계, 산업계 등과 함께 2차 조사단을 꾸려 두달 넘게 다각도의 조사를 벌여왔습니다.
조사결과는 이르면 이번주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차 조사위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1차 때와는 다르게 화재 원인과 관련한 책임 소재를 가릴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5건의 화재 중 일부에서 배터리와 화재의 연관성을 입증할 수 있는 상당한 근거를 확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배터리제조사인 LG화학과 삼성SDI가 조사 결과에 대해 반박하면서 업계의 소명절차가 진행중입니다.
ESS 화재원인이 배터리 결함으로 발표될 경우 그동안 제조상의 문제는 없다고 부인했던 제조사들은 화재사태의 책임과 배상논란에 휘말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문수련입니다.
문수련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뉴스후] 기존 정책 짜집기한 인공지능 국가전략… AI 강국 도약 가능할까[앵커멘트]정부가 AI 국가전략을 마련해 글로벌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인공지능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AI 반도체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AI 기반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등 인프라도 대거 늘리기로 했는데요. 그러나 기존 정책 짜깁기에 현실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오는데다 정책 추진의 핵심인 데이터3법 통과 여부도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구체적인 내용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 1) 우리 정부가 정책 추진한 배경이 궁금한데 선진국 AI2019-12-19 09:04:05이명재 기자
-
LG유플+CJ헬로 '메기 효과'... 5G 알뜰폰 요금제 쏟아진다[앵커멘트]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약 7%만이 5G 이용자인 현재, 알뜰폰 업체까지 새 요금제를 선보이며 5G 가입자 확보에 나섰습니다. 특히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가 이 같은 시장 변화에 결정적 요인이 됐다고 분석되는데요. 앞으로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황이화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인해 통신시장도 급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뜰폰 업체까지 속속 5G 요금제를 출시해 알뜰폰 업계 5G 경쟁이 본격화되는 모습입니다.지난 10월 LG유플러스 망을2019-12-19 09:00:17황이화 기자
-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람보르기니 차량 추적·인증에 적용고객관계관리(CRM)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세일즈포스가 이탈리아 슈퍼카 제조기업인 람보르기니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차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증하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람보르기니는 중고차량 매매시 차량 정품 인증을 위해 이탈리아 산타가타 볼로냐스(Sant’Agata Bolognese)에 있는 본사에서 약 800~1000회에 걸친 인증 절차를 실시하고 있다.기존에는 각 차량 부품에 대한 정품 인증은 물론, 서비스 내역 점검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 활용과 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세일즈포스2019-12-18 16:40:5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