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과학기술 전문가들,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 늘어난다"
STEPI Outlook 2020 발간
국민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반면,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들은 증가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3일 이 같은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과학기술과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과 평가를 담은 ‘STEPI 아웃룩(Outlook) 2020’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STEPI Outlook’은 STEPI가 국가 과학기술혁신 전략 개발과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매년 발간하는 연구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 중 52.8%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들은 75.1%가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라며 국민과 대조적인 전망을 밝혔다.
이 같은 차이에 대해 4차 산업혁명 전문가인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기술 발전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기술이 등장하면 기존 일자리가 일부 사라졌따. 하지만 이보다 훨씬 많은 새로운 일자리가 생겼다”며 “전문가들은 과거의 역사에 근거해 일자리에 대해 전망한 반면, 일반 국민들은 언론에서 보도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기존 일자리 감소에 대한 부정적 보도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경전 교수는 말과 자동차를 예로 들었다. 말 대신 자동차가 이동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말과 관련된 일자리가 대부분 사라졌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과 관련해 기존의 말과 관련된 일자리보다 훨씬 많은 일자리가 등장했다. 특히 기존에는 부자들만 말을 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매우 적었다. 반면 누구나 자동차를 타게 되면서 크게 늘어난 수요만큼 일자리도 크게 늘었다는 설명이다.
또 이 교수는 “웹툰 작가가 등장하기 전까지 이 같은 일자리를 예상했던 사람들이 거의 없는 것처럼 전문가들도 어떤 새로운 일자리가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이런 특성 때문에 새로운 일자리에 예측이 쉽지는 않다”며 “하지만 신기술 등장에 따라 이를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이어지며, 제품이 등장하며 새로운 일자리가 계속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국가적 해결과제에 대해서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국민들은 23.0%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가장 중요한 국가적 해결과제로 꼽은 반면, 전문가들은 54.4%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꼽았다. 또 국민 22.4%가 청년 일자리 문제를 두 번째 중요 과제로 선택했는데, 전문가들은 4.1%가 선택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우수한 과학기술자를 배출하기 위해 선행돼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국민 37.3%가 일자리 확대를 첫 번째로 꼽은 반면, 전문가 38.7%가 사회적 지위향상을 첫 번째로 꼽았다. 국민 23.0%는 사회적 지위향상을, 전문가 16.1%는 일자리 확대가 선행돼야 한다고 내다봤다.
또 국민들은 경제위기 재발을 막기 위한 국가적 해결과제로 39.1%가 기초 원천기술 확보를, 25.4%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 개발을, 13.7%가 수출위주의 경제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정부가 과학기술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49.8%가 한국 산업 발전과 경제 성장을 위해, 25.0%가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24.6%가 과학적 진보와 기술적 발전을 위해서라고 밝혔다.
이 조사에는 만 19세 이상의 국민 1404명(2018년 900명, 2019년 504명)과 과학기술 분야 정책/연구 전문가 332명(2018년 115명, 2019년 217명)이 참여했다.
조황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 “STEPI는 2020년을 맞아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와 10가지 테마별 진단과 전망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혁신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면서 “STEPI Outlook 2020이 과학기술혁신 정책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사회 변화에 미리 준비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기대감을 밝혔다.
한편 ‘STEPI Outlook 2020’에는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STEPI 10인의 전망,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명사들의 화두도 함께 담겨 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mtn.co.kr
-
빅데이터 플랫폼 전면 개방…"데이터 경제 활성화"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구축한 10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의 1,400여종 데이터를 전면 개방·유통하는 등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그동안 구축한 데이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양질의 데이터 개방과 데이터 활용을 확대해 다양한 혁신 서비스를 발굴할 계획이다.앞서 지난해 12월 유통·금융·환경·통신 4개 분야의 빅데이터 플랫폼이 문을 열었고, 문화·헬스케어·지역경제·교통·산림·중소기업2020-01-06 09:05:32유찬 기자
-
[CES2020]미래 모빌리티 기술 격돌하는 'CES 2020'…플라잉카·자율주행차 '핵심 키워드'[앵커멘트]CES 2020에서는 플라잉카와 자율주행차, 차량과 연결된 다양한 자율주행 플랫폼 등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내다볼 수 있는 핵심 제품들이 대거 전시됩니다. 벌써부터 관심이 뜨거운데 김승교 기자가 어떤 제품과 기술들이 공개될지 미리 한번 짚어봤습니다.[기사내용]도심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플라잉카와 운전자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오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2020에서 공개될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입니다.이번 CES 2020에는 현대2020-01-06 09:01:05김승교 기자
-
반도체 경기 회복세 기대감… 삼성 '초격차 기술'·SK하이닉스 '원가절감' 승부수[앵커멘트]올해부터 반도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음주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합니다. 4분기 실적은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적 회복의 신호가 나타나고 있는만큼 턴어라운드 시기를 앞두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전략에 관심이 쏠립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삼성전자가 이르면 오는 7일 지난해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합니다.에프엔가이드가 추산한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실적전망 평균)를 살펴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분기 영업이익은 6조 5,82020-01-06 08:57:42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