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CES 2020] 자동차 올라탄 전자 업계…모빌리티 '전장' 주도권 경쟁
[앵커멘트]
이번 CES에서 SK그룹과 삼성전자, LG전자의 전시장에는 특이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전시장 한복판에 자동차가 놓여있단 점인데요. 전자업계도 미래 모빌리티의 전자장비 산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고장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사이드미러에도 (화면이) 달려있네!]
나란히 앉아 미래 자동차를 살펴보는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과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자동차 전자 장비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양사는 모두 전장을 미래먹거리로 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CES에서 세계 최초로 5G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주변 상황을 알려주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차 안에만 8개의 화면이 있고, 후방에는 운전자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패널까지 달려있습니다.
[권원석 삼성전자 전장사업팀 부장: 올해 CES에서 선보인 '디지털 콕핏 2020'은 5G, 자율주행 등 새로운 운전환경에 맞춰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획·개발됐습니다.]
올해 CES에서 전자업계는 직접 자동차를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과 인포테인먼트 등 전장 산업 비전을 들고나왔습니다.
특히 SK그룹은 차량에 들어가는 소재부터 배터리, 반도체까지 모두 연결 지어 전시하며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선점에 나섰습니다.
SK 계열사가 가진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모빌리티 밸류 체인'으로 모으겠다는 전략입니다.
[원종호 SK하이닉스 브랜드전략팀장: 자율주행차도 결국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발생시킵니다. 데이터가 차 안에서 저장되고 처리되는데 결국 메모리 반도체도 많이 쓰여야 하고요. 그 크기와 속도, 성능에 맞는 메모리 반도체를 SK하이닉스가 만들어내고 있고….]
LG전자도 CES 전시장 중심에서 미래 자동차를 선보였습니다.
전장 부품은 물론 자사의 인공지능 플랫폼 '씽큐'와의 접목까지 시도하고 있습니다.
[LG전자의 씽큐 플랫폼을 활용하면 집안에서 사용하던 냉장고부터 의류관리기까지 모두 차량에서 끊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미래 모빌리티 전장을 차지하기 위한 비(非)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회사명 바꾸는 SKT… 중간지주사 전환 본격화하나[앵커멘트]SK텔레콤이 사명 변경을 통해 통신사에서 ICT 복합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통신 외에 미디어, 인공지능 등 미래사업을 키우고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생각인데요. 중간지주사 전환 움직임도 본격화될 것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SK텔레콤이 '텔레콤' 대신 '하이퍼커넥트' 등 사명 변경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탈통신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이는 SK텔레콤의 뉴ICT 사업 비중이 전체의 50%에 육박한다는 점에서 앞으로2020-01-13 09:00:39이명재 기자
-
'음원 사재기' 논란…멜론·지니, 매크로 방어 효과 있을까[앵커멘트]가요계에서 끊임없이 문제가 되어온 '음원 사재기 문제'가 최근 공론화되며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증거 자료까지 나오며 법정공방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인데요. 음원 플랫폼과 정부 차원의 대응에도 관심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아이돌 그룹 블락비의 한 멤버가 여러 가수들의 실명을 직접 거론하며 '음원 사재기'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고소전으로까지 이어지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한 정치 단체는 매크로를 이용해 음원을 돌리는 듯한 사진을 증거2020-01-10 09:49:14박수연 기자
-
유전자가위 암‧유전병 임상, 암흑물질 탐지 경쟁…사이언스 2020 과학이슈 전망올해 유전자가위 암과 유전병 치료 임상 실험과 암흑물질 탐지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지난 2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과 함께 이종 기관 이식 활성화,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등장, 단백질을 활용한 고고학 연구, 위기에 처한 생물다양성과 기후 정책 등을 2020년 주요 과학이슈로 전망했다.사이언스는 유전자가위(CRISPR)가 암과 유전 질병 치료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시험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에서는 유전자가위로 암환자의 T세포에 있는 유전자 세 개를 비활성화하는 소2020-01-10 09:26:39박응서 기자